경기도가 추진하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명칭 변경에 서울시의회가 제동을 걸었다. 이유는 '시민 혼선'이라고 한다. 이들이 말한 시민은 서울시민일 것이다. 서울시민 혼선의 이유로 1300만 경기도민과 300만 인천시민의 요구를 묵살한 셈이다. 서울시의회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명칭변경에 왈가불가할 자격이 있는가.

국토부는 지난 2017년 11월 예규를 개정해 '고속국도 등 도로 노선번호 및 노선명 관리지침'상 고속국도의 명칭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해당 노선을 경유하는 모든 지자체장(광역·기초 포함)의 동의를 얻은 후, 2개 이상 지자체장이 공동으로 신청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경유 지자체는 도내 14곳과 인천 계양·부평·남동구 3곳 등 경기·인천이 17곳에 달한다. 서울은 송파·강동·노원구 등 각 3개 지자체만 지나간다. 총 연장 128㎞인 서울외곽순환로의 통과 지역은 경기·인천에 전체 노선의 91%인 116㎞에 걸쳐있는 반면, 서울은 9%인 12㎞에 불과하다. 경유 지자체와 노선 길이 등에서 경인지역이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지만 명칭은 '서울'에 종속돼 있는 셈이다.

1981년 고속국도 100호선인 이 도로는 기획단계에서 철저히 서울중심이었다. 서울을 중심으로 방사형과 순환형 교통체계를 구축, 수도권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1984년 수립된 '수도권종합교통망체계기본계획'에 의해 건설이 기획됐다. 군사정권시절 중앙집권적 사고에서 나온 계획이었다. 이에 이재명 경기지사는 '서울 외곽'이라는 명칭은 여전히 서울 위성도시라는 인식이 깔려있다고 보고 자치분권에 맞게 제 이름을 찾겠다며 '수도권외곽순환고속도로'로 명칭을 바꾸겠다고 공약했다. 경기도지사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그러나 16년동안 어느 누구도 나서지 않았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라는 명칭을 당연하게 여겼다. 이제 상황이 바뀌었다. 경인지역은 산업·경제·문화·체육 등 각종 지표에서 서울을 누르고 선두에 서 있다. '서울의 변방'이 아니다. 지방분권은 지방민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도 이번 명칭 변경을 검토하는데 지방분권강화를 위해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숙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