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일보=온라인뉴스팀01]

리얼미터 2019년 1월 3주차 주중집계(무선 80 : 유선 20, 총 1,505명 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89주차 국정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이 지난주 1월 2주차 주간집계 대비 0.2%p 내린 49.4%(매우 잘함 24.8%, 잘하는 편 24.6%)를 기록, 지난주에 이어 횡보하며 2주째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0.7%(▲0.6%p)로 3주째 상승하며 2주 연속 40%대를 유지했고, 자유한국당 역시 24.8%(▲0.9%p)로 지난 2주 동안의 내림세를 마감하고 다시 25% 선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의당은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이탈하며 6.9%(▼2.2%p)로 하락했고, 바른미래당 또한 5.9%(▼0.5%p)를 기록하며 다시 5%대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평화당은 3.1%(▲0.9%p)로 상승했다.

한편, 16일 실시한 양승태 전 대법원장의 구속수사 여부에 대한 국민여론 조사 결과, ‘찬성’(매우 찬성 46.1%, 찬성하는 편 20.6%) 응답이 3명 중 2명인 66.7%로, ‘반대’(매우 반대 13.8%, 반대하는 편 12.3%) 응답(26.1%)의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양 전 대법원장의 구속수사를 강하게 요구하는 매우 찬성(46.1%)은 절반에 이르렀고, TK와 60대 이상 포함 거의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찬성 여론이 대다수인 가운데, 특히 호남과 20대, 진보층, 정의당·민주당 지지층은 찬성이 90%에 근접하거나 상회하는 등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대 여론은 자유한국당 지지층과 보수층에서만 대다수이거나 우세한 양상이었다.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긍정 49.4%(▼0.2%p), 부정 45.5%(▲0.7%p)

-지난주에 이어 횡보하며 2주째 긍정평가가 부정평가 앞서. 14일(월), 15일(화) 이틀 연속 소폭 하락했으나, 16일(수)에는 50%선 회복하며 반등

-충청·호남, 20대·50대·60대이상, 노동직·학생, 보수층, 민주당·평화당 지지층과 무당층 결집, 서울·PK, 30대, 자영업·주부, 중도층·진보층, 바른미래당·정의당·한국당 지지층 이탈

-미세먼지 악화에 이은 보수야당, 언론 일부의 ‘탈원전 원인론’, ‘對중국 저자세 외교론’ 공세, 북한의 비핵화 범위 논란, 개성공단 재가동 논란, 국방백서 논란 등 각종 논란 집중되었으나, 경제인 간담회 등 文대통령의 경제 활성화 행보 꾸준히 이어지며 2주째 긍정평가 우세 지속

-11일(금) 48.8%(부정 45.7%) ↘ ▲송영길 의원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주장에 이은 탈원전 논란, ▲‘목표는 미국민의 안전’ 美 비핵화 범위 논란, ▲개성공단 재가동 논란 14일(월) 48.4%(45.9%) ↘ ▲미세먼지 악화에 이은 ‘탈원전 원인론’, ‘對중국 저자세 외교론’ 보수야당, 언론 일부 공세 격화, ▲‘北=敵’ 삭제 국방백서 논란, ▲황교안 전 총리 한국당 입당 보도 확대 15일(화) 48.0%(46.8%) ↗ ▲전날 文대통령·경제인 靑 간담회 후속보도 증가 16일(수) 50.3%(45.0%)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tbs 의뢰로 1월 14일(월)부터 16일(수)까지 사흘 동안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9,253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505명(무선 80 : 유선 20)이 응답을 완료한 2019년 1월 3주차 주중집계 결과,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89주차 국정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이 지난주 1월 2주차 주간집계 대비 0.2%p 내린 49.4%(매우 잘함 24.8%, 잘하는 편 24.6%)를 기록, 지난주에 이어 횡보하며 2주째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7%p 오른 45.5%(매우 잘못함 29.7%, 잘못하는 편 15.8%)로 긍·부정 평가의 격차는 오차범위(±2.5%p) 내인 3.9%p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은 0.5%p 감소한 5.1%.

이번 주 초 미세먼지 악화와 잇따른 ‘탈원전 원인론’, ‘對중국 저자세 외교론’ 등 보수야당과 언론 일부의 공세가 강화되고, 북한의 비핵화 범위를 둘러싼 논란, 개성공단 재가동 논란, 국방백서 ‘북한은 적’ 삭제 논란 등 각종 논란이 집중되었음에도 2주째 긍정평가 우세가 지속된 것은, 지난 15일의 경제인 간담회 등 문재인 대통령의 경제 활성화 행보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세부 계층별로 등락이 엇갈렸는데, 충청권과 호남, 20대와 50대, 60대 이상, 노동직과 학생, 보수층, 민주당·평화당 지지층과 무당층에서 상승한 반면, 서울과 부산·울산·경남(PK), 30대, 자영업과 주부, 중도층과 진보층, 바른미래당·정의당·한국당 지지층에서는 하락했다.

일간으로는 지난주 금요일(11일)에 48.8%(부정평가 45.7%)로 마감한 후, 송영길 의원의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주장에 이은 탈원전 논란, ‘목표는 미국민의 안전’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발언에 이은 비핵화 범위 논란, 개성공단 재가동 논란 등 각종 논란이 집중되었던 14일(월)에는 48.4%(부정평가 45.9%)로 내렸다/

미세먼지 악화의 '탈원전 원인론', '對중국 저자세 외교론' 등 보수야당과 언론 일부의 공세가 격화되고, ‘북한은 적’ 삭제 국방백서 논란과 황교안 전 총리의 한국당 입당 관련 보도가 확대되었던 15일(화)에도 48.0%(부정평가 46.8%)로 하락했다가, 전날 있었던 문재인 대통령과 경제인 간의 청와대 간담회 관련 후속보도가 증가했던 16일(수)에는 50.3%(부정평가 45.0%)로 50% 선을 회복하며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중집계로는 지역별로 서울(▼3.0%p, 51.8%→48.8%, 부정평가 46.2%), 부산·울산·경남(▼1.8%p, 42.1%→40.3%, 부정평가 52.7%), 연령별로는 30대(▼9.6%p, 59.1%→49.5%, 부정평가 46.0%), 직업별로는 자영업(▼4.3%p, 42.6%→38.3%, 부정평가 57.6%), 가정주부(▼2.4%p, 43.5%→41.1%, 부정평가 54.1%), 지지정당별로는 바른미래당 지지층(▼14.0%p, 28.9%→14.9%, 부정평가 78.4%), 정의당 지지층(▼3.5%p, 70.1%→66.6%, 부정평가 26.7%), 자유한국당 지지층(▼2.4%p, 7.1%→4.7%, 부정평가 91.2%)로 나타났다.

이념성향별로는 중도층(▼1.8%p, 47.8%→46.0%, 부정평가 49.5%)과 진보층(▼1.6%p, 73.7%→72.1%, 부정평가 23.3%)에서 하락한 반면, 대전·세종·충청(▲5.1%p, 49.2%→54.3%, 부정평가 41.8%)과 광주·전라(▲2.9%p, 64.7%→67.6%, 부정평가 29.7%), 20대(▲4.1%p, 51.5%→55.6%, 부정평가 37.9%)와 50대(▲1.6%p, 45.6%→47.2%, 부정평가 48.7%), 60대 이상(▲1.6%p, 37.5%→39.1%, 부정평가 55.2%), 노동직(▲5.2%p, 45.9%→51.1%, 부정평가 40.2%)과 학생(▲2.1%p, 49.4%→51.5%, 부정평가 46.0%), 무직(▲1.0%p, 42.0%→43.0%, 부정평가 45.4%), 민주당 지지층(▲3.5%p, 84.1%→87.6%, 부정평가 9.5%)과 민주평화당 지지층(▲2.6%p, 52.9%→55.5%, 부정평가 44.5%), 무당층(▲2.5%p, 27.4%→29.9%, 부정평가 59.1%), 보수층(▲4.8%p, 20.9%→25.7%, 부정평가 71.0%)에서는 상승했다.

이번 주중집계는 2019년 1월 14일(월)부터 16일(수)까지 사흘 동안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9,253명에 통화를 시도해 최종 1,505명이 응답을 완료, 7.8%의 응답률(응답률 제고 목적 표집틀 확정 후 미수신 조사대상 3회 콜백)을 나타냈고, 무선 전화면접(10%),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방식,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18년 7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이다.

기타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자세히 알수 있다.

 

/정유진 기자 online0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