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내항 재개발 마스터플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 세기를 넘어 인천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다해 온 인천 내항의 물류 기능을 완전히 배제한 개발 방향 때문이다. 지금도 내항은 인천의 전체 항만 물동량의 13%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재개발 마스터 플랜은 문화·업무·주거·산업지구에 대한 내용만 담겨 있다. 문제는 내항을 기반으로 먹고 살아온 기업들과 사람들의 문제다. 내항의 물류 기능이 사라지면 연관 산업들이 바로 충격을 받게 된다. 자본력이 있는 대기업들도 아니다. 충격을 쉽게 흡수하기 어려운 중소기업들이 대부분이다.

지난 주 인천시와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인천내항 일원 재개발 마스터플랜'은 연간 2000만t의 화물을 처리하는 내항의 물류 기능을 배제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 부두운영사를 통합해 놓고는 항만 물류 기능을 없앤다는 점에서도 앞뒤가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인천내항에서 처리되는 주요 화물은 철재·잡화·사료 부원료·자동차 등이다. 수많은 물류업체들과 중고차 수출업체, 원자재 수출입 업체 등이 내항을 활동 무대로 하고 있다.

해수부 등은 이번 마스터플랜이 내항의 항만 기능이 상실됐을 때를 전제로 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그간 내항을 배경으로 사업을 영위해온 중소업체들을 위한 대체 부지나 대체 부두 계획도 없는 상태다.
이번 마스터 플랜으로 해서 인천의 항만업계는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걱정이다. 시설의 개·보수나 신축, 확장 등 신규투자가 멈추기 때문이다. 인천상공회의소나 항만업계의 우려가 과한 것이 아닐 것이다.
인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내항에서 직·간접적으로 일하거나 북성·신흥동 일대 제조업과 운수·창고업체 등 내항 경제권에 포함된 노동자는 4만6000여 명에 이른다. 특히 신흥·북성동에 자리잡은 영세 제조업체 350여 곳은 바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렇다고 이들 업체들이나 종사 근로자들이 바로 인천신항으로 옮겨 가기도 어렵다. 이미 물류 흐름이 짜여져 있기 때문이다. 친수공간 개발도 중요하지만 지역경제의 활력과 일자리에 대한 걱정은 결코 간과돼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