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을 앞으로 어떻게 할지 알려주는 중앙 정부와 인천시의 계획이 나왔다. 해양수산부와 인천시는 어제 '인천 내항 미래비전 선포식'을 갖고 내항 개발 마스터플랜을 공개했다. 핵심은 현재 인천항 갑문 안쪽의 항만 기능을 없애고 이 곳을 관광·업무·산업·주거시설 등으로 개발하겠다는 얘기다. 갑문 안쪽에 해수면을 낀 여의도만한 면적의 미래형 수변 도시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날 해수부와 인천시가 발표한 마스터플랜에는 청사진만 있지 이를 완성시키는데 필요한 사업비를 어떻게 충당할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개발비용은 공기업이 부담한다는 원칙만 제시됐을 뿐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내항 재개발은 이미 몇년 전부터 추진됐다.

마스터플랜에서 체험형 도시 관광 중심의 해양문화지구로 개발키로 한 1· 8부두는 2015년 민간투자유치에 나섰다가 수익성 문제로 민간 사업자가 나서지 않으면서 무산됐다. 우리는 그동안 나라안팎에서 무수히 봐왔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나 사업이라도 재원이 담보되지 않으면 헛구호에 불과하다.

재원 뿐만이 아니다. 인천 내항에 기반을 두고 있는 항만과 관련 업계에 대한 향후 대책도 제시되지 않았다. 인천 내항은 1974년 대형 선박이 입출항 할 수 있는 갑문이 만들어진 이후 수도권 관문항이자 서해안 최대 교역항으로서 지역 뿐 아니라 국내 경제발전의 밑받침이 돼 왔다. 인천 내항은 북항과 남항, 국제여객부두 등 갑문 바깥 외항 개발로 현재는 기능이 많이 약화됐지만 2000년 초반까지만 해도 체선. 체화가 발생할 정도로 이용 선박이 넘쳐나면서 국내에서 부산항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수출입 물동량을 처리했다.

지금도 내항은 인천항 전체 물동량의 13% 가량을 처리하면서 지역은 물론 수도권 항만·해운산업과 수많은 관련 업체들을 견인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마스터플랜에서 내항 기능이 없어졌을 때 부두 등 대체시설 계획은 빠져 있다. 당연히 항만해운 산업과 관련 업체들에 대한 언급도 없었다. 새로운 환경에 대한 변화도 필요하지만 기존 그 곳을 터전으로 먹고 살아온 이들에 대한 대책은 마련해줘야 될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는데는 다 이유가 있다. 미래에 대한 꿈도 좋지만 눈앞에 문제를 챙기는 정책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