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계운 인천대 교수, 인천하천살리기추진단장


인천다운 인천을 만들어 가자고 한다. 그런데 어떤 것이 인천의 본모습인지 애매하다. 어떤 상징이 인천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인지에 대한 공감대도 부족하다. 혹자는 인천공항이나 인천항을, 혹자는 송도나 청라와 같은 신도시를 꼽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고개를 갸우뚱한다. 인천의 특성을 멀리서 찾을 필요는 없다. 이미 오래전부터 시민들이 사용해 왔지만 잊어버리고 있던 내용이 있다. 인천 특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내용은 이미 仁川이라는 지명에 잘 나와 있다. 하천을 나타내는 '川'이라는 용어가 인천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항구도시 인천의 젖줄 역할을 하는 바다도 인천의 참맛을 잘 나타낸다. 하천이나 바다는 물을 근본으로 하기에 '물의 도시, 인천'이 바로 인천을 대표하는 브랜드이다. 단순히, '물이 있는 도시, 인천'에 머물지 않고 '워터프런트가 있는 도시, 인천'이 인천 전체의 브랜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필자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최근 들어 인천에서도 워터프런트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왔지만 그다지 긍정적이지만은 않았다. 인천 전체의 워터프런트가 아니라 송도신도시만의 워터프런트였고, 그것도 인위적인 수로조성사업이라는 인식 때문이었다. 때문에 이를 찬성하는 송도 주민들과 또 다른 4대강을 만든다는 NGO의 반대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송도워터프런트 조성계획도 몇 번이나 궤도를 수정해야만 했다.
그러나 워터프런트는 워터프런트 그 자체이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용어 자체가 의미하는 것처럼 '물가, 또는 물과 마주하는 곳'이고 그곳이 바다와 마주하든지 아니면 하천이나 호수와 마주하든지간에 이 모든 곳을 워터프런트라고 한다. 이러한 워터프런트가 어떤 특정 지역을 잘 나타낼 때는 그 곳 지명 자체가 브랜드로 인식되면서 그 곳의 상징이 된다.

이탈리아의 베니스, 호주의 시드니, 미국의 산안토니오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워터프런트는 그 자체가 자산이고 우수한 환경이며, 생태나 문화의 보고가 되기도 하며, 또한 관광지가 된다. 우리가 관광지를 찾을 때마다 바닷가쪽 방을 예약하려고 고민하는 것도 이러한 워터프런트가 우수한 환경이요 자산이 되기 때문이다.

인천을 이제 그대로 놓아두어서는 안 된다. 이제 워터프런트가 인천의 명실상부한 상징이 되도록 만드는 대장정에 들어가야 한다. 인천 서편의 모든 지역을 아우르며 북쪽에서부터 남쪽까지 끝없이 펼쳐진 넓은 바다와 갯벌, 그와 맞닿으며 도심 곳곳을 실핏줄처럼 흐르는 하천이 곳곳에 설치된 유수지와 저류지에 잘 연결되어 있는 바, 이를 어떻게 계획하고 만들어 가느냐에 따라 인천의 미래 모습이 크게 달라질 것이다.
남,북 방향과 동,서 방향으로 이어진 워터프런트를 잘 가꾸고 이를 활용한 스토리를 만들어 내어야 한다. 남, 북 방향의 위쪽 경인아라뱃길과 연결된 경인항으로부터 인천항, 월미도, 아암도, 송도, 소래포구에 이르는 인천의 서쪽 바다가 갖고 있는 특색을 살려 연결해야 한다. 동, 서 방향으로도 인천의 신, 구도심을 지나는 실핏줄 같은 하천과 연안이 연결되고 인천 앞바다의 섬과 조화되는, 역사와 현대가 공존하는 인천만의 특색을 가진 인천워터프런트로 제대로 조성해 나가야 한다.

예산도 인천시 예산만 쓸 필요가 없다. 인천시에서는 시민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마스터플랜을 만들고 그 계획아래 중앙정부사업과 연계되는 것은 중앙정부사업과 연계시키고, 산업계가 감당할 것은 산업계에 맡기는 지혜가 필요하다. 마침 원도심 재생 사업이 국가의 주요 어젠다이고, 인천에서도 원도심 재생사업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니 계획을 충실히 하면 엄청난 돈을 들이지 않고서도 이를 잘 추진할 수 있다. 이제 머뭇거릴 시간도 없다. 다른 도시도 발전을 위한 몸부림이 한창이다.

2019년은 '워터프런트가 있는 인천'을 만들기 위해 인천이 함께 나서는 원년이 되어야한다. 우선 마스터플랜을 잘 만들고 그 아래 각종 계획이나 사업과 유기적으로 연계해서 앞으로 10여 년간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고 주민들과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지속적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정 단체나 조직이 아니라 인천 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종합적인 실행계획이 되어야 하며, 전문가, 시민단체, 지방정부, 산업계도 각각의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가고 또한 협력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