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는 부모뿐만 아니라 국가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할 문제다. 건강한 미래 세대를 길러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공통 표준교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이 적용되고 있다. 누리과정은 취학 전 유아들의 심신의 건강과 조화로운 발달을 도와 민주시민의 기초를 형성하고, 초등 1학년의 교육과정과 연계된다. 계층에 상관없이 영유아의 교육평등을 실현하겠다는 취지다.
2012년 도입된 누리과정의 예산 지원을 놓고 교육부와 지방교육청의 갈등은 보육대란의 위기를 빚기도 했다. 보육시설 10곳 중 8곳은 사립이다. 지난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사립 유치원 비리가 공개됐다. 나랏돈이 파행으로 쓰여 국민의 공분을 샀다. 사립 유치원의 공공성이 강조되지만 정부의 관리·감독이 허술했다는 지적도 있다.

국민혈세의 투명한 집행 요구에 이의가 있을 수 없다. 사립유치원의 일탈로 얼룩진 최근 사태에서 학부모들은 적절한 보육기관 선택에 고심한다.
일부 사립 유치원들의 폐업 선언 등으로 아이들을 믿고 맡길 만한 곳이 없다는 부모들의 걱정이 한숨으로 됐다. 육아 불안은 부모의 사회활동에 큰 지장을 주는 첫 번째 요인이다. 사립보다 안정적으로 느끼는 국공립유치원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인천시교육청이 협동조합형 유치원 논의를 시작했다. 보육의 공공성과 투명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됐다. 민·관 주도 유치원 수준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학부모와 교직원들의 관리·운영 역할도 과제다. 가족공동체의 기능과 역할이 축소될수록 부모들의 육아부담과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 내 아이와 이웃의 아이들을 함께 키우는 공동육아 개념의 교육철학과 책임감이 필요한 시점이다.

육아가 개인과 가정의 울타리에서 국가 사회의 책임 영역으로 강화됐다. 이스라엘의 키부츠, 이탈리아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 등이 선례이고, 우리나라 전통 품앗이 육아교육도 공동육아의 기반이다. 이번 논의에서 소개된 스페인 협동조합학교도 벤치마킹의 대상이다.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가 주체인 보육 시스템으로서 협동조합 유치원에 대한 도전과 성공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