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PUL 연계 스마트 항구도시 특성화 심포지엄'이 인천대 미래관에서 개최됐다. 시민들이 가까이 할 수 있는 워터프런트 조성 등이 논의돼 눈길을 끌었다. 지난해 9월 중국, 일본, 영국, 브라질 등 세계 12개국의 항구도시 소재 14개 대학이 참여한 항구도시대학연합(PUL) 연차총회가 인천에서 열린 바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지난해 PUL 조직위원장이었던 최계운 인천대 도시환경공학부 교수는 '인천의 워터프런트 사업과 원도심 재생 사업을 병행 추진하면 세계적 항만도시로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학계와 시민사회 전문가들이 내놓은 의견에서 세계의 유수 항구도시에 버금가는 인천 육성의 희망과 의지가 엿보인다.

그동안 인천은 '항구도시 인천'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인천과 항만, 항구도시 방안이 나올 때마다 인천은 상대적인 정치적 역량에서 뒤졌다. 더구나 인천시민은 인천이 국제적 항구도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미 항만은 기득권 논리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새로운 항만 도시 인천의 미래 비전을 상실해 왔다. 또 항만의 중요성이 시민의 정서에 깊게 자리 잡지 못했다.
최근 신차와 중고차 선적시장이 타 항만으로 이동하고 있고, 정치권이 나서 정부와 기업을 설득하는 노력도 미흡했다. 정부의 투포트(부산·광양) 항만 육성 과제에 당하고, 불공정을 개선하는 '항만산업균형발전특별법' 추진도 진영논리의 갈등을 겪어야 했다. 극지연구소가 상처를 입고,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설립이 흔들리고 있다. 해수부장관을 배출한 지역의 경우 일부 항만 개발에 정부와 정치권, 공기업 등이 나서 항만개발과 도시재생을 논의할 정도이고 보면 인천은 정치력의 부재, 토착 항만기업의 개인주의 등을 탓할 수밖에 없다.

지역의 여야 정치권이 힘을 합치고, 시민 사회가 든든하게 뭉치지 않는 한 해사법원 인천설립도 물 건너가는 모양새다. 인천은 역사적으로 항만 원도심이 도시발전과 생활의 근간이었다. 오늘날도 인천 경제 증진의 선택지다. 항구도시 인천에 대한 전문가들의 발전 전략과 주장 등은 지역 국회의원과 원로 항만인 등이 앞장서야 할 책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