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2036년까지 지역 철도망 길이를 지금의 2.6배 수준인 359.16㎞로 확충하고, 대중교통과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 비율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고 한다. 이른바 '도시교통 종합계획안'이다. 시는 이를 기본지침으로 삼아 향후 20년간 교통계획·정책을 세우고, 교통 관련 사업을 벌인다. 교통여건·패러다임 변화와 국가·지자체 교통 관련 계획을 반영해 연구용역을 의뢰하고, 관계기관·전문가·시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계획안을 마련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고속광역도로망 12개 노선 235㎞를 신설하고, 기존 5개 노선 길이는 32.7㎞ 늘린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시는 버스 인프라 등을 확충해 대중교통 분담률도 8.4%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시민들이 편하게 걸어다닐 수 있도록 횡단보도 확대, 보행자 우선 신호 도입, 단절구간 연결 등도 추진한다.

문제는 이런 계획안이 형식에 흐를 수 있다는 점이다. 시민들과 제대로 소통하는 등 '시민중심'으로 세웠느냐가 관건인데, 그렇지 못했다는 데서 비판을 받는다. 이 계획에는 우선 시민 참여가 별로 이뤄지지 않았다. 20년을 내다보며 구상하고 부문별 전략과 관련 사업을 도출하는 데 시민과의 소통에선 낙제점을 면하기 어렵다. 분야별·주제별로 통합계획을 짰다고는 하지만, 즉흥적으로 새로운 시정부 '공약'에 너무 치우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교통의 중요성을 잊었다는 얘기다. 실질적이고 내실 있는 도시교통계획을 세우지 못할 경우 여기서 비롯되는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에게로 돌아간다.

교통정책은 이제는 일상처럼 우리에게 다가왔을 정도로 긴요하다. 도시에서 살면서 시민들이 체감하는 아주 중요한 정책이다. 그만큼 떼려야 뗄 수 없게끔 매우 밀접하다. 도시의 중추로서 시 발전과 성장을 담당하기도 한다. 그래서 시대 변화를 읽으며 더욱 꼼꼼하게 교통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려면 시민이 주체로 나서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에 장기적으로는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아내는 지혜가 필요하다. 교통체계를 세우는 일에 구호로 그쳐선 곤란하다. 현재의 문제뿐만 아니라 미래의 교통 변화에 대응하려면, 계획과 실행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교통여건 변화와 기술 발전, 시민사회 요구 등을 지속적으로 살펴 계획을 보완하고 실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힘을 쏟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