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의 정책 협의 난항...내년 전담인력도 배치안돼
시민단체 "의지 없다고 봐" 교육감에 면담 요청하기로

'학교 에너지 자립' 정책을 4년 가까이 미뤄온 경기도교육청이 최근 경기도와 협의에 나섰지만, 실현 가능성은 아직 안갯속이다. <인천일보 10월23일자 1면>

정책 지연의 원인으로 지적됐던 도교육청의 조직구성이나 기본방향이 여전히 잡혀있지 않기 때문이다. 내년 단행할 조직개편 후에도 에너지 전담인력은 배치되지 않아 난관이 예상된다.

시민단체는 학생 수가 밀집한 경기도교육청이 다른 지역과 달리 유독 의지가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9일 도내 시민단체에 따르면 도 에너지 관련 실무부서, 도교육청 부서 직원들은 지난달 자리를 갖고 에너지 자립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에너지 자립 문제로 도교육청과 도가 공식적인 협의를 가진 일은 2015년 도와 상호 약속한 이후로 처음이다.

2015년 이재정 도교육감은 2030년 안에 전력 자립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높이는 노력 등을 선언한 '경기도 에너지 비전 2030'에 동참했다.

하지만 도교육청은 선언 이후 4년째 추진 부서 신설 등 후속 대책에 나서지 않았다. 결국 선언 이행을 위해 지자체, 교육청, 전문기관이 함께하기로 한 '공동기구'도 교육청만 쏙 빠져 운영되기도 했다.

두 기관의 협의가 완료되면 앞으로 '태양광 발전소' 설치 등을 통해 도내 학교로 신재생에너지가 확대되고, 찜통교실·냉골교실 등 전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도-도교육청 간 논의가 시작된 시점에서도 시민단체들의 평가는 냉혹하다. 도교육청이 계획수립, 추진 부서 신설 등 노력은 없다는 이유다.

실제 내년 미래교육국, 교육협력국 2개국 신설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안)에 에너지 분야는 빠져있다. 현재 도교육청에는 업무를 담당할 직원이 없는 상태다.

환경·정당·종교 등 20여개 단체가 합쳐진 '경기도 탈핵 에너지 전환 네트워크'의 안명균 실행위원장은 "논의보다도 계획과 실행체계가 갖춰져야 해결을 도출할 수 있다"며 "도교육청이 의지가 있다고 판단할 배경이 아무것도 없다고 보고, 교육감에게 면담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부산 교육청 등은 에너지 절감, 신재생 에너지, 에너지 자립 관련 지자체 협의 업무에 대한 조직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어 이와 대조된다.

부산교육청은 특히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160억원(교육청, 부산시 1대 1 분담)을 들여 100개 에너지 자립학교를 만드는 '클린에너지학교' 사업 추진, 학생 전용교재를 개발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인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와 영국 환경청이 인정하는 권위 있는 국제환경상 '2018 그린 애플 어워즈(Green Apple Awards)'에서 대상(Champion)을 받기도 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도가 학교 현실에 맞춘 충분한 논의 없이 추진을 하면서 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했다"며 "교육청에서 에너지 자립에 힘쓰기에 힘든 면이 있어 연구용역 등으로 먼저 진단을 마친 뒤 합의의견을 도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상아·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