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硏 "전통방식 벗어나 첨단 생산양식 가야"
인천지역 수산업이 최근 산업 변화 추세에 맞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통해 장기 발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운수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9일 '인천시 수산업 실태 분석 및 경쟁력 강화 연구' 보고서에서 "최근 수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인 양식·가공업으로 전환하는 등 '탈 재래화'를 추구하지만 인천은 이에 대비한 수산 정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수산업은 대규모 매립 사업·해양 환경오염·시장 개방 확대 등으로 어업 여건은 악화하지만 수산물 소비 수요 증가로 소득 기회는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에 정부는 전통적 생산·경영 방식에서 벗어나 부가가치화, 어촌 소득 증대, 첨단 생산 양식 등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각 광역시에서도 조례 제정과 종합 계획 수립을 통해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반면 인천의 경우 수산업 장기 발전 계획도 없는데다 수산업·어촌에 대한 규모·장단점 등 실태 조사도 이뤄지지 않고 있어, 타 시·도에 비해 수산업 트렌드 변화에 대한 대응이 뒤처지고 있다는 게 김 연구위원의 주장이다.

김 연구위원은 "인천은 수도권 배후의 수요 충족 및 중국 수산시장 개척에 유리한 지리적 접근성, 꽃게 등 어패류와 주꾸미·까나리가 전국 1~2위를 기록하는 등 높은 수산물 생산량과 168개 섬 등 풍부한 해양자원이 강점"이라면서도 "수산업 종사자는 전국 대비 약 4%인데다 어업 관련 사업체는 1% 미만으로 부가가치화엔 미흡한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특성과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장단점을 강화·보완할 수 있는 발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이는 정부 정책 기조에 부합하는 정책 추진 방향의 기초자료가 될 뿐 아니라 시의 일관성 있는 사업 추진에도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예린 기자 yerinwriter@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