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영종도 일대에 항공정비 클러스터 조성에 본격 나섰다. 국내에는 아직 민수 항공기 정비 단지가 없어 해마다 4조원 이상의 국부가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 등 타개책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민간 항공기 보유·운항 규모에서나 운항 노선 등에서 세계 항공업계에서 그 비중이 매우 크다. 그런데도 이를 뒷받침할 항공정비(MRO)단지가 없어 국부를 해외로 유출하고 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정부는 지난해 지역균형발전 등을 명분으로 경남 사천에 사업장을 둔 한국항공우주산업(KAI)를 항공정비 단일 사업대상자로 선정했다. 한국을 드나드는 거의 모든 항공기들이 인천공항을 기항지로 하고 있는데도 멀리 격리된 경남 사천에 항공정비단지를 추진하는 모양새다. 국익을 위해서라도 항공정비사업은 시장경쟁의 원리가 적용돼야 한다.

인천시는 지난 3일 인천국제공항공사·인천상공회의소·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인천산학융합원 등과 '항공정비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참여기관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인천공항 114만㎡ 부지에 항공정비단지를 조성해 국부 유출을 차단하고 인천공항의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게 협약의 주요 골자다. 국가 관문공항이 자리잡고 있는 인천은 누가 봐도 항공관련 산업의 경쟁력이 발휘될 수 있는 최적지다. 이런 관점에서 인천 항공정비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기대가 매우 크다. 경남 사천에 비해 지리적 입지가 뛰어나고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조건도 우월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인천의 움직임에 대해 정부 지원으로 항공정비단지 조성에 들어간 경남지역이 신경을 곤두세운다고 한다. 사천 MRO 사업자로 선정된 항공우주산업(KAI)은 올해 7월 전문법인을 설립하고 내년 3월부터 항공기 정비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인천이 다시 이 분야에 뛰어드는 것은 균형발전 차원에서 문제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수도권의 비수도권 밥그릇 뺏기라는 시각도 드러내고 있다. 편협한 시각이다. 한 나라의 항공정비산업이 꼭 독점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 시장경제의 원칙이 적용돼야 살아남을 수 있고 고객인 항공사의 편익도 증대된다. 소모적 경쟁만이 아닌 협력적·보완적·대체적 경쟁협력관계를 모색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