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공사 정규직 전환 요청하자 "2020년까지 단계적 감원" 지시
▲ 인천시가 인천지하철 2호선 안전요원의 대규모 감원을 예고한 가운데 4일 인천 지하철 2호선에서 승무원이 운행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대규모 감원을 단행할 경우 안전요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고 지하철 2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 또한 무인운행에 따른 불안감이 높아질 수 있다. /이상훈 기자 photohecho@incheonilbo.com

인천시가 인천지하철 2호선 안전요원의 대규모 감원을 예고하면서 일자리 창출을 1호 공약으로 내세운 문재인 정부의 정책을 역행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90여명의 안전요원들이 단계적으로 일할 곳을 잃게 되는데다 십수만명에 달하는 승객들 또한 무인운행에 따른 불안감이 높아질 수 있다.

4일 시와 인천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시는 2020년 말까지 인천2호선 안전요원 하차 및 감원에 따른 완전 무인운전 정착을 위해 단계별 시스템 보완 및 운영계획 수립을 공사에 요청했다.

앞서 공사는 외부 용역을 통해 배치한 안전요원 94명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자회사 설립을 시에 요청했다.
공사는 안전요원의 80%가 60세 이상인 점을 감안, 노사전문가 협의를 거쳐 고용 안정을 위해 자회사 설립이 최적의 방안이라는 판단에서 이와 같이 요구했다. 그러나 시는 오히려 감원 카드를 빼들었다.

현재 인천2호선 '2량 1편성'마다 안전요원 1명이 탑승하고 있다. 공사는 인천2호선이 무인 시스템이지만 시설장애나 돌발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으로 안전요원을 배치했다. 이들은 기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 사고나 고장, 장애 등이 발생할 경우 수동운전으로 전동차를 이동하고 전동차 내 승객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요원에 대한 시의 감원 방침은 정부의 정책 기조와도 엇박자를 내는 격이다.

공공부문에서는 작년 7월 발표된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정규직 전환을 시행하거나 준비하고 있는 반면 시는 고용불안을 부추기는 셈이다.

더구나 1일 평균 승객이 14만9000여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대책없이 무인 운행이 이뤄질 경우 시민들은 큰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반면 시는 인천2호선이 당초 무인체계로 설계된 데다 개통 후 2년이 지나 안정화 단계에 이른 만큼 무인운전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예산도 문제다. 정규직 전환에 따라 주 52시간 근무제를 맞추려면 인원을 추가로 40명 이상 더 고용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부산 등 타 지역에서 운행하는 무인 지하철의 경우 안전요원은 6개월에서 1년 이내 모두 내렸다"며 "우선 2년 동안 무인운전을 추진하고, 향후 문제가 발생하면 자회사 등을 통해 고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