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공동구는 땅 아래 공간에 전력망·통신망·수도관 등을 공동으로 쓰도록 한 도시 기반시설이다. 도시 곳곳에 그물처럼 뻗어 있다. 주요 망들이 한 곳에 몰려 일부 구간만 손상돼도 도시 전체가 타격을 입는다. 테러집단이 공동구를 파괴하면, 통신은 물론 전력·수도 등이 일시에 끊겨 일상 생활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한마디로 지하 공동구는 지하에 설치된 대한민국의 동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구는 통합방위법에 따라 국가중요시설로 분류된다. 핵심 공동구 구간엔 CCTV를 설치하고, 특정 구간엔 동작감지 센서까지 달려 24시간 움직임을 감시하고 있을 정도다.

그러면 인천시내 지하 공동구는 안전한가. 결론부터 말해 아니다. '빈틈'이 존재한다. 시내에 공동구가 설치된 지역은 송도국제도시(35.7㎞), 연수구(3.6㎞), 남동구(1.4㎞) 등 3곳이다. 이중 연수구 내 공동구를 한번 보자. 2016년 감사원 감사 결과 이 공동구엔 내진 성능이 취약해 지진 등의 발생 때 붕괴될 위험을 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992년 준공된 시설이어서 그 당시 내진 성능 기준에는 맞았지만, 2012년 강화된 내진 성능 평가에선 D등급(미흡)을 받았다. D등급은 주요 시설 결함으로 긴급히 보수·보강을 해야 함을 의미한다. 구는 2015년부터 2024년까지 32억원을 들여 내진 성능을 보강하는 공사를 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이행하지 않고 있다. 남동구 내 공동구는 국가중요시설로조차 지정을 받지 못했다. 군부대와 협의를 제대로 하지 못한 탓이다. 국가중요시설이 아니면 군부대와의 '핫라인'을 구축할 수 없어 각종 테러에도 아주 취약하다. 외부 공격에 사실상 '무방비 상태'라는 얘기다.

이처럼 지하 공동구 안전에 미흡한 까닭은 관련 당국에서 특별히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주말 서울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에서 보듯 군사적 공격이나 테러가 아닌 화재 등의 사고로 인해 공동구가 파괴되면, 군 부대도 '무용지물'이다. 테러만큼이나 심각한 후폭풍을 불러일으키는 데도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 단 한 차례 테러집단 공격으로 국가 경제를 마비시킬 수 있는 데도 말이다. 지하 공동구가 국가중요시설이란 점을 고려했을 때 관계 당국에선 책임 의식을 갖고 더 꼼꼼하게 안전을 살펴야 한다. 그래서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