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내 폐기물 전처리시설을 놓고 갈등이 증폭된다. 인천시가 분리·선별 시설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힌 반면, 환경부는 설치 쪽으로 밀어붙이기 때문이다. 내년 3월쯤 열릴 수도권해안매립실무조정위에서 그 갈등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수도권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각장을 뺀 분리·선별 시설 계획을 제안했지만, 시는 이를 강력히 반대한다. '수도권매립지 조기 종료'에 변함이 없는 만큼, 폐기물 전처리시설 설치도 수용할 수 없다고 한다. 4자(인천시·경기도·서울시·환경부) 협의체 중 인천시만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런 시와 환경부 간 '싸움'은 당초 매립지 종료 시점이었던 2016년에 이어 다시 불붙을 분위기다.

시는 최근 수도권매립지 3-1공구를 끝으로 쓰레기 매립을 종료한다고 못박은 바 있다. 3-1공구는 103만㎡ 규모로, 올해 9월 폐기물 반입을 시작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3-1매립장은 2025년 8월까지 7년간 수도권 폐기물 1450만여t을 처리하게 된다. 이를 감안하면, 7년 뒤엔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모두 중단해야 한다. 신규 대체 쓰레기매립지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현 매립지를 20년 정도 더 쓸 수 있다는 기존 합의와 배치되는 사안이다. 결국 서울시와 경기도로 '공'이 넘어간 셈이어서, 향후 이들 지자체의 대응 방안이 주목된다.
인천시가 1992년 2월 개장한 수도권매립지를 두고 강공책을 펼치는 데엔 이유가 있다. 그동안 지역 주민들에게 숱한 고통을 안겨주어서다. 악취는 물론 쓰레기를 실어 나르는 차량의 소음과 분진 등으로 주민들은 "더는 참을 수 없다"며 거센 반발을 해 왔다. 주민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도달한 것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내 집에다가 이웃이 쓰레기를 버리는 일을 누가 용납하겠는가. 자기 지역에서 나온 쓰레기를 자기 지역에서 처리하는 것은 정말 마땅한 처사다. 수도권 쓰레기 처리와 관련해선 인천·서울·경기 등 3개 시·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서 왔지만, 이제는 다 같이 지역 주민들을 생각해야 할 때다. 인천시에선 2016년 말 매립지 사용을 종료하겠다는 기존 정책을 이루진 못했지만, 이번 폐기물 전처리시설 반대 입장은 꼭 지켜내길 바란다. 쓰레기 문제를 놓고 더 이상 왈가왈부하지 말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