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배영 인천사회복지사협회장, 복지포인트 지급 등 조례 개정 성과
"단일 임금체계 구축 필요…복지직 공무원 담당 부서에 더 투입되길"
▲ 이배영 인천사회복지사협회장. /사진제공=이배영 인천사회복지사협회장


"인천의 사회복지 발전을 위해선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선 복지사들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민관 소통에 힘쓰겠습니다."

이배영 인천사회복지사협회장은 27일 인천 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민관 소통을 꼽았다.

인천지역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처우는 지난해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인건비 조사 결과에서 전국 17개 시·도 중 16위에 그칠 정도로 열악하다. 지자체 지원 부족으로 인력·시설 등 인프라가 부족한데다 옹진·강화 등 섬 지역은 교통편이 매우 나빠 복지사들이 서울·경기 등으로 빠져나가면서 인력난을 겪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는 일방적 판단으로 정책을 집행할 것이 아니라 복지 현장 종사자들의 고충을 듣고 정책에 반영해야 열악한 환경이 개선되고 전체적인 복지 수준이 높아질 것이란 게 이 회장의 생각이다. 취임 2년째인 이 회장은 그간 처우 개선과 권익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꾸준히 목소리를 내왔다.

인천지역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유한 3만9000여명을 대변해온 그는 "협회는 순수하게 사회복지사들의 권익을 위해 시에 목소리 내야 한다. 관변 단체가 아닌 독립 단체로 지자체에 쓴 소리도 해가며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노력이 인천시의회 처우 개선 조례 개정 노력 등과 맞물리면서 나름의 성과도 냈다.

시가 내년도 처우 개선안에 복지포인트 지급, 특수근무지수당 도입, 시비 지원 복지시설의 유급병가 연장(10일에서 60일) 등 그간 협회가 요구해온 방안 중 일부를 포함시켰다.

협회의 올곧은 발언과 적극적 행보에 매년 회비를 내는, 이른바 '진성 회원'도 취임 이전 600명에서 올해 1800명으로 늘었다고 한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그는 "시의 내년도 개선안도 특수근무지수당을 국내 최초로 도입하고 유급병가를 늘렸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적용 범위 제한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일부 지역이 열악한 환경 탓에 복지 기관마다 인력난을 겪기에 유인책을 마련하자는 취지인데, 이를 벗어났다"고 안타까워했다. 내년도부터 특수근무지수당을 받는 기관은 5곳에 그치고 유급병가 60일 연장도 국비 지원 시설은 제외된다.

그는 단일 임금체계 구축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국·시비 지원 복지관의 환경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으나 지역아동센터·여성 복지시설 등은 여전히 소외된 만큼, 어느 지역에서 근무하든 동일한 인건비를 받을 수 있도록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는 게 이 회장의 설명이다.

근본적인 개선책으로 민관이 소통을 강화하고 복지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복지직 공무원이 지자체에 많이 투입돼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전문성과 현장 이해도가 비교적 약한 행정직 공무원이 담당 부서에 대부분 포진돼 있다"며 "현장에서 근무해온 경험자이자 전문가인 복지직 공무원이 부서에 더 투입되고 현장과 소통하며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앞으로도 협회는 사회복지사의 처우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동시에 자정 능력을 통해 깨끗한 복지 현장을 만들어갈 것"이라며 "이를 위해 시와 진정성 있게 소통하고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예린 기자 yerinwriter@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