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 본청이 마침내 인천으로 돌아왔다. 해양경비안전본부로 조직이 축소해체된 지 4년, 헤트쿼터가 인천을 떠난지 2년 3개월만이다. 이제사 세월호 사태의 풍파를 딛고 국가 해양치안 기관이라는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온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인천시민들은 해경의 부활과 인천 환원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2년 전 인천 지역사회는 '해경부활·인천환원을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여야민정 합동 국회토론회를 열고 헌법소원을 제기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해경은 지난 24일 송도국제도시 청사에 해경 기를 달고 본격 업무에 들어갔다. 제복도 10년만에 새롭게 바뀌었다고 한다. 조직도 2014년 해체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고 수사 범위도 확대됐다. 해경은 기존 해상에서 발생하는 범죄와 함께 육상에서 발생하더라도 해양에 영향을 미치는 범죄를 우선 담당하게 됐다. 또 선원 등 해양인과 관련되거나 선박, 계류장 등 해양과 관련된 범죄는 해경이 전담해 수사할 수 있게 됐다.
해경은 해양 치안 확립 외에 국가 해양주권의 수호라는 임무도 띠고 있다. 한국은 독도와 이어도 등을 두고 중국, 일본과 갈등하고 있다. 삼국간 EEZ(배타적 경제수역) 경계 확정이 난항을 겪는 등 해양영토를 둘러싼 갈등이 상존한다. 특히 인천 앞바다는 중국어선 불법조업과 남북 간 NLL(북방한계선) 문제 등으로 해경의 역할이 더욱 크다.

새로 태어난 해경은 이처럼 중차대한 임무 수행에 한치의 차질이 없어야 할 것이다. 국민들과 특히 인천시민들이 해경의 부활과 인천 환원에 열렬한 성원을 보낸 의미를 깊이 되새겨야 할 것이다. 다시 생각하기도 싫겠지만 해경에게는 원죄가 있다. 4년 전 세월호 참사 당시 보여 준 상식 이하의 근무 자세는 대다수 국민들을 크게 실망시켰다. 그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지난해 빚어진 영흥도 낚싯배 사고 역시 해경의 대처는 무기력 그 자체였다.
해경 최대의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다. 더 이상 장비와 인력 부족 등의 핑계에 기댈 일이 아니다. 다시 인천으로 돌아 온 해경은 더 이상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