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의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갯벌은 바다 생명체들이 살아가는 터전이자, 그 주변에서 삶을 꾸려가는 이들의 보고(寶庫)이다. 인천 갯벌의 가치만 해도 4조4000억여원에 달할 만큼 엄청나다. 그런데 전국 곳곳에서 갯벌을 매립해 우리 삶을 바꾸려는 시도가 빈번하다.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여기 저기 파헤쳐져 신음을 한다. 경제개발 계획이라는 미명 아래 갯벌들은 매립으로 인해 순식간에 없어지고 있다. 주거와 상업용지, 관광단지 등을 확보하기 위해 갯벌은 메워져야 하는 대상일 뿐이다. 지나친 인간의 욕심이 결국 천혜의 자연을 망가트린다. 그동안 여의도 면적(2.9㎢)의 100배가 넘는 인천의 갯벌이 없어질 정도로 그 파괴의 모습은 처절하기까지 하다.

인천연구원의 '인천 공유수면매립에 따른 토지이용현황 및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1883년 개항기부터 2000년대까지 인천지역에서 이뤄진 매립 면적은 총 198.44㎢에 이른다. 곧 그만큼 바다가 사라진 셈이다. 그간 우리나라는 다양한 목적으로 갯벌을 간척·매립해 왔다. 특히 광활한 갯벌을 보유하던 인천이 더 그랬다. 오늘날 인천의 주요 주거·상업·공업 용지는 대개 매립을 통해 생겨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1·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1967년 주안공업단지, 1969~1971년 목재공업단지가 조성됐다. 갯벌 매립이 활발했던 1980년대에는 남동산단이, 1992~2001년에는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됐다. 그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송도 갯벌도 대부분 매립되면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국제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는 중이다. 중구 영종2지구와 북성포구 일대도 준설토투기장 조성 등을 이유로 매립할 예정이다.

최근 들어 갯벌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한번 매립된 갯벌은 되돌리기 어렵다. 국내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 전남 순천만 갯벌공원처럼 이제 '갯벌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 개발을 능사로만 보아선 안 된다. 지속가능한 갯벌 보전 체제를 세워야 한다. 과거에 갯벌 주변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무시한 매립 정책을 확 뜯어 고쳐야 할 때다.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 갯벌을 보전·보호할 수 있도록 방향을 틀어야 할 터이다. 시민들은 인천 갯벌을 매립하려는 계획을 더 이상 바라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