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전 화성시 반송동 동탄복합문화센터에서 열린 '2018 경기 공정무역 포트나잇 개막식& 국제컨퍼런스'에서 공정무역도시운동에 참여한 시·군 관계자들이 개막 선언을 하고 있다.

 


공정무역 가치 알리는 축제


-내달 11일까지 화성서 열려
-판매·티파티 … 인식확산 노력
-도 10개 도시 인증 추진선언


경기도내 곳곳에서 공정무역의 가치를 알리는 '2018 경기 공정무역 포트나잇 캠페인'이 29일부터 다음달 11일까지 열린다.

포트나잇(FortNight)은 2주간이라는 뜻으로, 지난 1997년 영국에서 처음 시작된 공정무역 캠페인이다.

캠페인 기간 동안 학교에서는 공정무역 교실이 열리고, 거리에서는 공정무역 특별 판매대가, 마을 공동체는 공정무역 티파티, 생산자와 만남, 패션쇼, 컨퍼런스 등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기 위한 축제를 연다.

29일 화성 동탄복합문화센터 반석아트홀에서 열린 '2018 경기 공정무역 포트나잇 개막식'에서는 경기도는 도내 10개 도시와 함께 공정무역도시 인증 추진을 선언했다.

도가 주최하고 경기도주식회사, 한국공정무역협의회, 더불어숲페어라이프센터가 주관하는 이번 캠페인은 수원과 성남, 부천, 안산, 화성, 평택, 시흥, 광명, 군포, 하남에서 도민들을 만난다.

도는 공정무역의 이해를 돕는 티파티 교육, 노래 공연과 각종 전문가 강연, 이야기 콘서트, 체험행사 등을 마련해 공정무역의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했다.

공정무역도시는 공정무역 제품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공정무역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을 벌이는 도시를 뜻한다.

국제공정무역마을위원회가 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전 세계 32개국 2074개 도시가 공정무역도시 인증을 받았으며, 국내에는 인천과 서울, 부천시가 공정무역도시로 인증 받은데 이어 이날 화성시가 4번째 인증서를 받았다.

공정무역도시 인증을 위해서는 ▲지역 의회지지 ▲지역매장에서 공정무역 제품 구매 용이(인구 2만5000명당 1개소) ▲지역 커뮤니티 내 사용 ▲홍보 ▲공정무역위원회 구성 등 5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도는 앞서 지난 2016년 공정무역 경기포럼을 개최하고 지난해 11월 '경기도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는 등 인증절차를 한걸음씩 달성해 가고 있다. 준비는 통상 5년여의 기간이 필요하다.

도는 5가지 기준에 더해 공정무역제품과 지역생산품의 결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개발국가에서 생산해 정당한 값을 주고 산 캐슈넛, 카카오 등 공정무역제품을 도내 마을기업과 사회적 기업 등이 가공, 새로운 제품을 생산한다는 복안이다.

도는 경기도주식회사 2호 매장인 시흥 바라지마켓 내 일부 공간을 공정무역 지원공간으로 지정하고 공정무역제품을 판매하기로 했다.

또, 도내 시·군의 공정무역도시운동 참여 독려를 위한 매뉴얼을 제작하고 찾아가는 공정무역 교실, 공정무역 시민활동가 양성 등 교육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도는 도의회와 함께 공정무역도시 추진을 위해 꾸준히 준비해 왔다"며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인프라 구축과 제도 기반 마련 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우리가 사는 사회는, 마을은 공정한가"

-상위 1%가 세계 부 99% 보유
-생산자에 더 나은 거래조건 제시
-공정무역, 공평·정의 관계 추구



29일 한국공정무역협의회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20%는 하루 1000원을 받고 있고, 40%는 2000원의 소득을 올린다. 또, 전 세계 상위 1% 부자가 보유한 부가 나머지 99%가 보유한 부와 맞먹는다.

공정무역은 "우리가 사는 사회는 공정한가"는 물음에서 시작됐다. 1946년 미국의 시민단체 텐사우전드빌리지(Ten Thousand Village)가 푸에르토리코의 자수제품을 구매하고, 1950년대 후반 옥스팜이 중국 피난민들의 수공예품과 동유럽국가의 수공예품을 팔던 것이 첫 시작이다. 이후 1960년대 옥스팜과 네덜란드의 Organisatie 등이 무역 조직과 단체를 만들면서 시민 운동의 일환이 됐다.


자본주의는 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했지만, 기업이 농민, 생산자 등 저소득자를 착취해 소비자에게 값싼 제품을 돌려주는 악순환을 낳았다. 예를 들면 싼값에 카카오를 사들여 대기업만 큰 이득을 보는 무역구조다.

세계적으로는 주로 농산물을 생산하는 남반구와 자본을 소유한 북반구 간의 소득·생활·인권·환경 격차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정무역은 대화와 투명성, 존중에 기초해 국제무역에서 보다 공평하고 정의로운 관계를 추구한다. 특히 저개발국가에서 경제발전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생산자와 노동자들에게 더 나은 거래 조건을 제공하고 그들의 권리를 보호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을 노린다.

WFTO(세계공정무역기구)와 FI(국제공정무역기구)는 지난 2009년 공정무역 핵심원칙 5가지를 발표했다. ▲취약한 생산자를 위한 시장 접근성 ▲지속 가능하고 공정한 무역관계 ▲생산자조직의 역량구축 및 강화 ▲소비자 인식 증진과 옹호 ▲사회적 계약(Social contract)으로서 공정무역 등이다.

공정무역 기구 인증을 받은 제품은 생산자들의 삶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공정가격'을 책정해 지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기업의 최소가격 책정과는 다르지만, 이런 금전적 이윤보다 사람과 지속가능한 무역을 추구하는 방식은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 착한 소비'로 연결돼 '공정'의 가치를 퍼트리고 있다.
/김중래 기자 jlcomet@incheonilbo.com


--------------------------------


'공정무역 운동' 이란

자본주의 시장구조에서 기업은 더 많은 이익을 추구하고, 소비자는 더 싼 물품을 찾는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자본주의 논리는 점점 생산자와 노동자, 농민 등을 수탈하는 과정으로 변질되는 '불공정'을 만들고 있다. 자본이 적은 저개발국가는 환경오염과 기아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공정무역은 이런 자본주의의 왜곡된 논리를 극복하고, 공평하고 윤리적인 무역거래를 위해 마련됐다. 이에 더해 공정무역운동은 공정무역의 가치를 도시와 결합해 '공정한 도시'를 꿈꾸는 운동이다.


-------------------------------------------------------------------

"놀라운 성장한 한국, 함께 혜택 누려야"
인터뷰 / 에린치 사한 세계공정무역기구 상임이사



"한국은 놀라운 경제성장을 뒤로하고, 이제 다음단계로 갈 방향을 정해야 할 때"

에린치 사한(Erinch Sahan·네델란드) 세계공정무역기구 상임이사는 29일 인천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중요한 기회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은 그간 놀라운 경제성장을 기록했다. 어떻게 성장을 빨리할 수 있는지, 어떻게 강한 발달을 이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를 보여줬다"면서 "이제는 우선순위를 정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에린치 사한 상임이사는 우선순위를 고려할 때 성장의 질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장의 혜택을 구성원이 함께 누리는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한국은 지금의 기회를 잘 살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공정무역제품과 지역 마을 공동체가 함께 제품을 생산한다는 아이디어는 공정무역과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방안 "이라며 "이를 통해 지역 공동체와 지역의 거래, 세계적 무역이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반 제품이 공정무역제품보다 싼 것은 누군가의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반 제품의 싼 가격에는 누군가의 희생이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며 "이런 제품은 결코 생산자가 지속가능할 수 없다. 공정무역제품의 가격이 정상적이며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가격이다"고 덧붙였다.

그는 공정무역에 대해 "그저 거래방식의 하나가 아니다"면서 "우리가 같은 위치에 있다는 것, 인권존중에 관한 것이며 서로 존경한다는 의미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공정무역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힘센 사람이 언제나 이긴다'는 말을 부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꿈꾸는 선택이다"고 밝혔다.

/김중래 기자 jlcome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