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남북 공동이용안 논의
"인접 지자체들 선제적 구축 필요" 목소리
11년 만에 남북이 오는 26일 한강하구 공동이용을 위한 첫 발을 내딛는다.
생태적 가치가 높은 한강하구를 남북 관계 개선 및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접한 지자체들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축이 선제적으로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9·19 남북군사합의서 이행을 위한 남북장성급 회담이 오는 26일 판문점에서 열린다. 이날 한강하구 공동조사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남북은 지난 9월19일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를 발표하면서 한강하구 공동이용을 위한 군사적 보장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한강하구는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만우리에서 인천 강화군 서도면 말도까지로 총 연장 67㎞에 이르는 지역이다.

2007년 10·4 남북정상회담에선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구성의 일환으로 남북이 한강하구를 공동 이용하기로 합의했지만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후속 조치는 이어지지 않았다.

그간 인천시는 높은 생태적 가치와 함께 남북 평화 협력의 첫 단추로 한강하구에 높은 관심을 가져왔다. 시는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올해 3월22일 송도컨벤시아에서 '2018 인천 한강하구 포럼'을 여는 등 한강하구의 관광·평화적 활용방안 등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져왔다.

수차례 포럼과 논의 끝에 시는 한강하구의 보존·관리를 위한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통합관리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한 바 있다. 한강하구는 환경부 습지보호구역과 해양수산부의 특별관리지역에서도 제외됐다.

또 생태 조사는 남북의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것도 고민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강하구 복원 및 활용 결과물을 내기 위해 인접한 지자체 간 활발한 교류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최혜자 인천 물과 미래 대표는 "지방분권 시대에 맞춰 한강하구 공동이용 현안에 대한 논의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인천에 많이 위치하고 있는 국제기구를 활용한다면 한강하구를 더욱 빠르게 평화수역으로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