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신설 커녕 향후 계획없어 … 道 제안에도 묵묵부답

 

경기도교육청이 신재생에너지 도입 등을 통해 전력자립도 상승을 올리려 노력하는 사회적 움직임에도 4년 넘도록 '나 몰라라'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학교 등 교육기관을 고효율 에너지 구조로 짓는 방향의 제도 마련 논의가 한창인 상황이라 도교육청의 자세가 무책임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22일 경기도, 시·군 등에 따르면 정부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 교육당국은 에너지절감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하는 내용 등의 에너지 분야 사업 및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세먼지 등 환경적 문제나 기후변화로 인한 건물 냉·난방 문제가 이슈가 됐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경기도가 시행 중인 '에너지 자립 선도사업'이다.

도는 2030년까지 도내 전력자립도 70%, 신재생 에너지 비중 20% 확대 등을 목표로 한 전략을 수립, 매년 단계를 밟아가고 있다.

이는 전국 최초로, 산업·물류·관광단지와 주거단지에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고효율 기기 등을 융합·도입하는 것이 핵심이다.

사업 실효를 위해 '컨트롤타워'라 불리는 위원회·센터 등도 설치했으며 공공·민간에 신재생에너지 생산시설 조성 기반을 만들기 위해 도비를 지원하기도 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수원·화성·안산·남양주·포천·양평 등 7개 시·군 지역 14개 사업을 선정해 총 6㎿ 전력생산 시설을 확충하는 효과를 거뒀다.

이 밖에 도내 많은 시·군들도 자체적으로 에너지 자립 정책, 사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도내 지자체들과는 달리 도교육청의 노력은 '정적' 그 자체다.

도교육청은 현재까지 에너지 특화 조직 신설은커녕 향후 계획도 마련하지 않았다. 폭염, 혹한으로 인한 찜통교실·냉골교실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음에도 근본적 원인으로 꼽히는 '전력 소비'에 미동조차 않고 있다.

무려 4년여 이어진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에도 요지부동이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위한 시민단체모임 '경기도 탈핵 에너지전환 네트워크'는 2016년부터 도교육청에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지자체의 제안에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도가 올해 학교 쪽 전력자립 실현방안을 찾으려 도교육청에 수차례 협조를 구했으나 명확한 답을 못 받아 연기되고 있다.

도와 도교육청이 함께한 '공동기구' 출범 계획도 무산된 바 있다. 아이러니하게 도교육청은 2015년 전력자립도 상승 노력 등을 상호 약속한 '경기도 에너지 비전 2030'에 참여한 기관으로 돼 있다.

도 관계자는 "교육청과 일정 협조가 이뤄져 학교에 미친 사업이 단 한건도 없다"며 "협조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학교 전력자립 관련 의무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비난의 목소리가 크다.

안명균 경기도 탈핵 에너지전환 네트워크 실행위원장은 "교육청이 조직구성 등의 노력을 않는데다, 시민단체나 지자체 제안에 반응도 안 하는걸 보고 그냥 의지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경기도교육청의 에너지 정책 점수는 타 지자체, 교육당국과 비교해 빵점수준"이라고 비판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전담할 부서나 성과가 없다보니 어느 대책을 찾고 실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면서 "계획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