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서만도 인천에서는 대형급 화학공장 사고가 잇따랐다. 유독 화학가스가 유출돼 인근 주민들을 불안케 하거나 대형 화재가 일어나 하늘을 온통 검은 매연으로 가득 차게 했다. 그런데도 관계 당국의 안전 점검은 여전히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감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점검 비율이 10% 미만이다. 특히 화학공장들은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 밀집돼 있다. 중국 등지에서 화학물질 수입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지만 인천항에는 유해화학물질 저장소도 없다고 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국정감사 결과, 전국 7개 환경청이 유해화학물질 업무를 전담하고 있지만 지도·점검은 소홀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화학업체가 밀집해 있는 한강유역환경청의 경우 지난해 6039개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가운데 499개(8.3%)만 점검했다. 한강유역환경청이 관리하는 유해화학물질 업체는 전국 1만3516개 가운데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화학사고 비중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부터 지난 7월까지 전국에서 364건의 화학사고가 일어났지만 인천을 포함한 한강유역환경청 관할 구역에서만 131건(35.9%)이 일어났다.

잇따르고 있는 화학사고는 시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인천에서는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화학사고가 19건이나 일어났다. 지난 4월 서구 가좌동의 한 화학공장에서는 대응 3단계 규모의 화재가 발생, 수도권 소방인력과 장비가 대거 동원되기도 했다. 그 며칠 뒤에는 인근 도색공장에서도 대응 2단계급의 화재가 일어났다.
2015년 중국 톈진항에서는 화학물 폭발사고가 일어나 수백명의 사상자를 낸 바 있다. 이에 화학물질이 들고 나는 항만에 화학물질 저장소를 따로 둬야 한다는 대책이 나왔다. 그러나 인천항을 포함한 전국 항만의 컨테이이너 터미널 17곳 중 울산항만 저장소를 갖추고 있다고 한다.

재앙은 이같은 안전불감이 쌓이고 쌓여 불시에 습격해 온다. 일을 당하고 난 뒤에 소 잃고 외양간 고치듯 허둥지둥해 온 것이 그간 되풀이됐다. 이제라도 화학공장이나 유해화학물질들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시스템화 해서 시민들의 불안을 해소시켜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