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내년 1월까지 인천역 유휴부지 복합개발 민간사업자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업부지가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자칫 대기업 특혜로 변질될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아울러 개발사업이 '공공성'을 담보하지 못한 채 추진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코레일이 밝힌 공공성 부문에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 기여도가 아주 낮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디 취지와 달리 사업이 상업성에만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원도심을 활성화하겠다는 뜻이지만, 정작 공공성 기능을 확보할지 여부가 난제로 떠오른다. 지역 상권 반발로도 이어지면서 인천역 복합역사 개발은 또 다른 '인천의 이슈'로 등장할 듯하다. 지역에서 이를 두고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인천역 복합역사 개발은 2015년 시작됐다. 인천시와 코레일이 당시 인천역 일원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비롯됐다. 늘어난 철도 이용객을 수용하고 지역 주민과 관광객 편의를 높이자는 차원에서였다. 인천역의 경우 2016년 수인선 개통으로 하루 철도 이용객이 개통 전 8천여 명에서 지난해 기준 1만2000여명으로 증가했다.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코레일은 사업비 1606억원을 투입해 인천역 유휴부지 1만2264㎡를 업무·숙박·문화·판매시설 등을 갖춘 복합역사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사업은 코레일의 현물출자와 주택도시기금 출자·융자, 민간자본 참여로 진행한다. 복합역사는 지하 4층·지상 25층 규모로 지어진다.

인천역 해당 부지는 2016년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용적률과 건폐율 등의 규제를 이미 대폭 완화한 상태다. 시는 인천역 개발 사업을 통해 고용·생산 유발 등 커다란 경제적 효과를 내다보고 있는데, 아직 이렇다 할 지역과의 '상생협력' 방안은 없는 실정이다. 이렇게 사업을 강행하다간 중구 차이나타운과 신포국제시장 등 지역 상권에 큰 타격을 입힐 수도 있다. 더구나 올해로 119년을 맞은 인천역은 중요한 인천의 근대 역사·문화 자산이기도 하다. 향후 건축·문화·역사적 가치 보존 대책 없이 사업을 추진하면, 시민사회단체도 그대로 보고만 있지 않을 태세다. 낙후된 지역을 새롭게 개선하겠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지역과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벌이지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