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송도국제도시에 둥지를 튼 인천 극지연구소를 빼앗으려는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지방으로 옮기는 공공기관 범위에 부속기관 끼워넣기를 해서 부산으로 가져가겠다는 '노림수'를 벌인다. 부산을 지역구로 둔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은 최근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지방 이전 공공기관 테두리를 부속 연구기관으로 확대하겠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이 개정안은 결국 인천 극지연구소를 겨냥했다는 분석이다. 인천지역 정치권은 이에 대해 '기관 흔들기'로 더 이상 분열을 조장하지 말라며 반발한다. '극지연구소 독립'으로 대응을 하겠다는 의지도 보인다.

남극과 북극 등 극지를 두루 살피는 극지연구소는 지난해 경기도 안산에서 부산으로 내려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산하 연구기관이다. 그동안 부산 정치권은 해양과학기술원 부속 기관인 극지연구소도 부산으로 옮겨야 한다는 논리를 펼쳐 왔다. '정치적 입김'만으론 극지연구소를 가져갈 수 없다고 판단한 부산지역 정치권은 이번엔 관련 법에 극지연구소 이전 단서 조항을 넣어 반드시 옮기겠다는 속셈을 드러내고 있다. 지역사회에선 인천을 대표하는 국책 연구기관을 '강탈'하려는 행위라며 반발 움직임을 보인다. 그러지 않아도 부산에 자리를 잡은 해양 관련 기관은 수두룩하다. 이런 판국에 극지연구소마저 부산으로 옮겨간다면, 수도권에선 해양과 관련된 연구·조사 등을 아예 할 수 없게 된다.

인천 정치권은 극지 활동에 체계적으로 대처하고 전문적인 연구를 하려면, 극지연구소의 독립화 형태인 '한국극지연구원'을 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국내 극지 연구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라도 해양과학기술원에서 극지연구소를 따로 떼어 설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은 극지 연구 결정체인 '아라온호'의 모항이다. 아라온호는 인천항을 출발해 길고 긴 항해에 나서면서 극지 항로 개척 등 연구활동의 임무를 수행한다.
인천은 해양도시이고, 극지 관련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2천500만 수도권 시민을 대상으로 극지의 중요성을 알려야 한다.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과 시설 확충 등으로 이미 조성된 인천의 '극지인프라'가 더 발전하도록 힘을 쏟길 바란다. 극지연구소마저 부산으로 이전하면, 수도권 시민들은 '해양'을 알기 위한 노력을 포기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