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쯤 인천 택시 기본요금이 1000원 정도 오를 전망이다. 택시 이용자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택시를 탈 수밖에 없는 처지의 시민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더구나 20%를 더 받는 심야 할증시간을 자정에서 1시간 앞당겨 오후 11시로 적용한다면 택시 타기가 망설여질 법하다.

매년 상승한 물가인상률에 비해 택시요금은 지난 5년간 동결됐고,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택시기사들의 생계를 균형 있게 조정해야 하는 현실적 인상 요인도 있다. 사실 버스기사보다 택시기사의 임금은 아주 적다. 하루 10시간, 한 달 26일을 만근해도 2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급여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선 요금 인상밖에 뚜렷한 대안을 찾기도 마땅치 않다. 하지만 인상폭이 일반적인 물가인상에 비해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자칫 사납금 인상으로 이어져 사주만 배를 불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그동안 택시요금을 인상할 때마다 서비스를 대폭 개선하겠다는 업계의 약속이 뒤따랐다. 정작 택시민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승차거부와 불친절 등은 여전히 줄지 않았다. 서비스가 제도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는 인상이다. 승객을 골라 태우다 보니 외곽 지역에서는 택시 잡기가 매우 어렵다. 인천의 택시 1대당 인구비율은 205.2명으로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높은 것도 원인이다.

소비자들은 시장논리에 따라 좋은 상품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시민 편익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택시이용 불편 요인을 근절하려는 업계의 각오와 실천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되풀이된다. 오는 10일 열리는 인천시 택시정책위원회는 소비자 요구를 반영하고, 택시업계의 선진화 과제를 가감 없이 제시해야 한다.
최근 택시업계는 카풀 서비스를 거세게 반대하고 나섰다. 외국에선 고질적 택시난을 해결하기 위해 택시 유형을 다변화하고 승합택시, 밴풀택시 등을 시행하는 추세다. 이기적이고 안주하는 택시업계의 모습은 요금 인상 명분을 스스로 포기하는 행태다. 카풀 등 다각적인 도전에도 경쟁할 수 있는 택시업계 스스로의 자신감과 획기적인 경영풍토 개선이 있어야 요금 인상 논의를 시민들이 수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