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은 지구온난화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지목된다.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건강에 유해한 미세먼지 피해 인식은 국민 모두가 공감하는 부분이다. 인천시 옹진군 소재 영흥화력발전소 6기는 미세먼지 물질 배출기준을 가장 엄격히 적용받고 있는 사업소다. 하지만 여전히 석탄화력에 대한 우려와 환경 개선 요구는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일 충남 부여에서 열린 '탈(脫)석탄 친환경에너지 전환 국제 컨퍼런스'에 인천시도 참석했다. 이날 30년 이상 된 폐쇄 노후발전 시설에 들지는 않지만 2004년 가동을 시작한 영흥화력 2기 시설의 조기폐쇄도 점쳐졌다. 온실가스 배출은 대부분 석탄화력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탈석탄 에너지 정책은 세계적인 관심사다.

한국은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총량전망치(BAU)를 기준으로 37%를 감축하겠다고 선언했다. 2016년 11월 발표된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세계 각 국가들은 석탄화력 발전에 대한 축소와 전환을 추진하는 실정이다.
미세먼지에 따른 국민건강의 위해성은 이미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고, 국민 호흡권 보장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점차 커지고 있다. 정부 관계부처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내놓고 저감 정책의 추진 방향도 수도권 외 지역으로 확대한 '우심지역' 중점관리로 전환한다고 벌써 밝혔지만 이를 뒷받침할 지방재정은 턱없이 부족하다.

전국 화력발전의 절반가량이 밀집한 인천과 충남 당진·태안·보령·서천 등 서해안 지역 석탄화력발전소들의 대기오염은 더 이상 방치할 문제가 아니다. 이번 콘퍼런스에서 밝힌 인천과 환경부를 비롯한 경기, 충남, 서울시의 '탈석탄 친환경에너지 전환 공동선언'은 석탄발전부문의 온실가스를 대폭 개선해 실질적으로 시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하지만 선언이 선언으로 끝나서는 안된다.
인천은 탈석탄 로드맵을 수립하고, 자율적인 에너지 정책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조직체계를 갖추는 등 앞서가는 시정을 펴야 한다. 효율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뿐만 아니라 국가 간 네트워크도 필요하다.
석탄화력 지역산업을 친환경 구조로 개선하는 에너지 지방분권에 힘이 실리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