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인천지역 노인들은 생활여건을 물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50~60점의 낮은 점수를 줬다. 인천은 노인들이 살아가기에 불편한 점이 많아 불만족스럽다는 사회인식 조사결과다.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인천이 고령친화도시로 성장하기에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인천고령사회대응센터는 지난 27일 '인천시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정책적 방향 모색' 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노인 일자리 지원기관의 확충' 등을 제안했다. '일자리', '지역사회 참여', '노인존중과 사회통합' 항목 등에서 100점 만점에 각기 48.6점, 52.5점, 54.2점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다.

고령화는 경제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노인들의 고충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의 노인 부양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노인 일자리 정책이 활동적 노후를 지원하는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수밖에 없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8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70~74세 고용률은 33.1%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반면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세계 최고수준인 46.7%다. 일하는 노인은 많은데 소득수준은 하위라는 비극적인 모순은 해결해야 할 국가적 과제다. 그만큼 양질의 노인 일자리가 부족한 탓이다.

생활비를 보태기 위해 일하기를 원하는 장·노년층도 10명 중 7명에 달한다. 그러하니 나이가 들어도 불편하지 않은 도시에서 살 수 있어야 한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에 근접하기란 쉽지 않은 현실이다. 하지만 고령친화도시 육성은 고령화 시대에 대처하는 종합적인 방안이다.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에 정치·사회적 역량을 집중하지 않고는 국가 경제 성장의 둔화를 늦추기 힘들게 됐다.
고령친화도시는 노인만을 위한 도시가 아닌, 세대를 통합하는 누구나 살기 좋은 도시를 의미한다. 평생을 살고 싶은 도시를 향해 인천이 성장할 수 있도록 각계 리더들이 한발 더 앞장서길 기대한다. 노인들이 능동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활력과 건강한 삶을 영위할 '질 높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민·관이 함께 나설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