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남북 교역 최대 수혜" 전망
해주·신의주항 등 항로 개설 목소리
'대북 제재 해제' '정부 지원' 의견도
▲ 과거 대북 교역의 중심지였던 인천내항의 전경. /사진제공=인천항만공사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18일 평양에서 개최되면서 인천항이 들썩이고 있다. 인천항을 거점으로 한 남북 경제협력사업이 본격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인천항이 남북한과 중국 간 '트라이앵글 물류 네트워크'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남북통일 시 인천항 물동량 급증

인천항만공사(IPA)는 남북통일과 한중 항로 개방이 2030년과 2040년 사이에 이뤄진다고 가정했을 때, 2050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700만TEU(1TEU는 길이 6m 짜리 컨테이너 1대), 국제 여객 수는 400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700만TEU는 지난해 인천항이 개항 이래 처음 달성한 304만TEU보다 배 이상 많은 물동량이다.
남북이 하나가 되면 지난해 720만TEU를 달성한 태국 람차방항 등 세계적 컨테이너 항만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반면 같은 시기 남북 분단이 지속되고 한중 항로가 개방되지 않았을 경우엔 컨테이너 물동량은 570만TEU, 국제 여객 수는 300만명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IPA는 남북통일이 되면 북한의 개성과 해주가 인천항의 배후권으로 형성돼 인천항과 북한 서해 무역항(남포항·해주항·송림항) 간 수출입 환적 기능이 활성화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 서해항만은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의 차가 큰데다, 2009년 이후 동절기 때 남포항부터 신의주에 이르는 서한만 전역에 해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해주항 등 남북 교역항 신규 개설 필요

IPA는 과거 인천항과 교역한 남포항과 함께 해주항도 개통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해주항 현대화 사업인 항로 준설로 바닷모래를 확보해 국내 골재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해주항 배후에 있는 개성공단의 물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IPA 남북경제협력TF 팀장을 맡고 있는 홍경선 경영부문 부사장은 "인천항이 과거엔 남포항과 교류를 많이 했지만 그때와 다르게 이번 남북 경협사업은 더 다양해지고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그런 면에서 해주항은 굉장히 중요하다. 남북 경협이 활성화되려면 인천과 해주를 잇는 항로가 개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경제특구 3곳을 품은 신의주 항만과 인천항을 잇는 뱃길을 열어 서해권 물류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북한 경제특구를 활용한 남북 해양수산 협력 필요'란 주제의 동향 분석 자료에서 "신의주 지역은 기존 남북 직항로에 포함돼 있지 않지만, 북한 경제특구 3곳이 밀집돼 있고 자강도 지역의 경제특구 물량까지 흡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 KMI는 "특히 북한은 신의주를 동북아 물류 허브로 개발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신의주에 대한 해운·항만 부문 투자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남북과 중국을 잇는 삼각 무역도 고민할 시점

인천항을 중심으로 남북한과 중국 간 '트라이앵글 물류 네트워크'가 구축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태원 성결대 물류학과 교수는 올 6월21일 인천 중구 IPA 대강당에서 열린 남북 경제 협력 관련 세미나에서 "남북 교역이 활성화됐을 때 수혜를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항만은 인천항"이라고 전망했다.

정 교수는 "북한의 교역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에서 중간재를 수입해 재가공한 뒤 소비재와 같은 완성품을 중국에 수출하는 임가공 무역이 확대된 게 눈에 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무역 방식에 한국이 껴서 인천항을 중심으로 환적 물동량을 창출하는 남북한·중국 3국 간 물류 네트워크가 구축돼야 한다"며 "트라이앵글 물류 네트워크는 새로운 수출 품목을 창출해 미국과 유럽 항로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그는 또 "인천항과 남포항·해주항 간 직항로가 개설돼야 하며, 인천항과 인천공항을 연계한 대북 물류 네트워크 구축도 고민해야 한다"며 "인천신항 배후 물류단지에 남북 공동물류센터를 건립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태승 인하대 물류전문대학원 원장도 "남북 수도권 경제 협력 벨트를 살펴보면 북한 내 새로운 산업 거점이 생기고 물동량이 창출될 것이며, 결국 인천항을 중심으로 환황해 벨트가 조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원장은 또 "장기적으로 남포~해주~인천~평택을 연결한 남북 서해권 통합항만공사를 설립해 다롄과 톈진 등 중국 주요 항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인천항 중심 남북 경협 '걸림돌'

인천항을 거점으로 한 남북 경협사업이 실현되려면, 가장 먼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풀려야 한다. 미국 주도의 대북 제재가 풀리지 않는 이상 인천항과 북한 항만 간 교역이 이뤄질 수 없다는 얘기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경제인들의 방북에 대해 "대북 제재로 인해 남북 경협의 한계는 있다"면서도 "이번 남북정상회담에선 현실적으로 당장 가능한 영역보다는 미래 가능성을 얘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민간 대북 해상운송사업의 안정화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인천~남포 항로 정기선 '트레이드포춘' 호를 운항했던 국양해운 대북팀장 출신 최준호 장금상선 부장은 "북한과 무역을 하려면 선박 구입 등 투자비가 많이 든다. 투자비를 회수하는데 10년 이상 시간이 걸리는 문제도 있다"며 "민간기업으로선 많은 리스크를 안고 가야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정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해주 직항로남북 평화 길 될까 제3차 남북정상회담이 본격 시작되면서, '인천~해주 직항로'가 신설될 수 있을 지에 관심이 모아진다.이 뱃길이 열릴 경우 자연스럽게 인천~개성~해주를 잇는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가 조성된다. 인천항을 중심으로 인천이 남북 교역의 중심축이자 한반도 평화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5면18일 인천 정치권과 항만업계에선 이날부터 사흘간 평양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서 서해 평화수역 조성 방안과 관련해 남북이 구체적인 합의점을 도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그러나 일각에선 지난주 군사실무회담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