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타고 4시간 백령도까지 옭아매다


인천국제공항과 항만이 있는 인천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도시지만 정작 국내에선 찬밥 신세다. 정부는 1982년 제정한 수도권정비계획법(이하 수정법)이라는 낡은 규제로 인천의 발목을 붙잡고 있다. 더구나 서울로부터 200㎞ 떨어져 있어 배를 타고 4시간이나 가야 하는 백령도까지 규제 범위에 넣으면서 강화·옹진군은 최대 피해지로 꼽히고 있다. ▶관련기사 3면

17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은 전체 면적의 29.7%가 과밀억제권역, 70.3%가 성장관리권역에 속한다.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 국토교통부는 수정법에 따라 수도권을 과밀억제, 성장관리 및 자연보전의 3개 권역으로 구분했다. 인천에서 일정 면적 이상의 택지나 관광지, 공업용지를 조성하려면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받아야 한다. 인천이라는 이유로 거의 대부분의 행위에 제한을 받고 있는 셈이다.

이로 인해 한 때 대표적인 공업 지역인 동구도 옭아매는 규제로 점차 도시 기능이 쇠퇴하고 있다. 수정법에 따라 과밀억제권역에서 공장 등 인구집중유발시설이 이전한 부지에 다시 공장 등을 신·증설할 경우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가 필요하다.

그런데 심의 기간이 15개월 이상으로 일반 인·허가 기간보다 6개월 이상 지연돼 공장 유치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늘어나는 행정절차 처리 기간이 금융 비용과 개발비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절차에 따른 부담으로 수도권 심의를 받지 않기 위해 동구와 서구 등 공업지역에 500㎡ 이하의 소규모 공장만 주로 들어섰고, 팔리지 않은 땅은 공터로 남게 됐다. 대표적인 예가 일진전기와 대주중공업, 한국유리가 있던 자리다.

수정법으로 인천의 성장은 가로 막혔고, 또 다른 규제까지 인천의 경쟁력를 악화시키고 있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선 인천 등 수도권을 공공기관 지방 이전 대상 지역으로 못 박아놔 언제든 인천 공공기관을 빼갈 수 있다. 영흥화력발전소나 수도권매립지 등과 같은 시민 기피시설은 인천에 두면서도 공공기관은 인천이 아닌 지역으로 보내겠다는 것이다.

여러 현안들이 수도권 규제에 묶여 제자리걸음이고, 바이오산업 등 인천 성장을 이끌 신산업에 대한 정부 관심은 여전히 냉담하기만 하다.

이희환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 공동대표는 "정부는 인천에 기본적인 인프라를 제공하지 않은 채 수도권매립지 등 시민 기피시설만 남겨 두고 있다"며 "도시의 자족성과 완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를 조성하는게 우선적으로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



관련기사
중첩 규제 신음 … 강화·옹진의 눈물 "군사시설·문화재 보호 등 18개 항목 적용"수정법 내 접경부권역 추가" 전문가 조언인천 강화·옹진군은 행정구역상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수정법을 비롯한 각종 규제를 중첩 적용받고 있다.이러한 규제들은 지역 발전을 저해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인구 전출 등으로 인한 경제적 쇠퇴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17일 대한지리학회의 '인천시 접경지역 토지이용규제에 관한 연구(2016년)'에 따르면 강화와 옹진군은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법, 농지법, 문화재보호법 등 10개 법에 따른 18개 규제가 적용된다. <관련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