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업계, 앞둔 남북정상회담에 '신규항로 개설·기능 변경' 모색 중
18~20일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하늘길과 바닷길을 통해 인천을 대북 교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해 온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보다 현실화한 것으로 3대 경제협력벨트 중 서해안 산업·물류·교통벨트 구축에 해당된다.

1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을 대북 교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현재 중국 베이징공항이 맡고 있는 대북 항공 교통 관문 역할을 인천공항으로 가져 오려는 전략을 마련중이다.

이 같은 방안은 북한이 세계와 교류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교류 거점 공항이 필요하고 그 역할을 인천국제공항이 맡아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인천공항 대북 교류 거점 육성 방안' 용역안을 수립하고 내년 상반기 연구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연구에서 북한이 남한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활동하는데 필요한 항공 교통 체계를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공항 건설·운영 부분에서 인천공항의 전문성이 북한 공항시설 개·보수와 운영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정밀화하는 작업도 펼쳐진다.

남북한 간 신규 항로 개설도 화두중 하나다. 인천공항~평양 순안공항·삼지연공항(백두산)·통천공항(금강산) 등 대북 신규 항로안을 제시하고 북방·남방 정책과 관련된 연계 노선이 검토된다.
무엇보다 베이징공항이 맡고 있는 북한 환승 거점을 인천공항으로 변경하기 위한 전략구축도 요구된다.

이와 함께 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 등 지역항만업계는 인천항과 북한의 남포·해주항 간의 바닷길 재개 등 인천항을 남북경협 거점항구로 육성하기 위해 지혜를 모으고 있다.

인천항을 남북경제협력의 거점항으로 만들기 위해 인천항 일부 부두를 컨테이너 전용에서 잡화 혼용으로 기능을 변경하는 방안에 힘이 쏠리고 있다.

인천항은 1984년 북한의 홍수피해 복구를 위한 시멘트 등 구호물품 반입을 시작으로 2005년 북한 남포·해주·원산항과 교류 실무협의를 체결, 대북 제재가 있기 전인 2011년 10월까지 4000여건의 남북교역이 이뤄진 경험이 있다.

북한 남포항은 하역능력, 무역비중 등에서 북한 제1의 항만으로 꼽히며 해주항 역시 무역 비중이 높은 항만이나 시설이 낙후된 것으로 알려졌다. 남포항과 해주항 현대화에 인천항만공사의 협력이 요구되는 지점이다.

하늘길, 바닷길 항로 개방은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박남춘 인천시장의 서해평화협력지대 건설의 핵심과제다.
한반도 신경제구상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로, 서해안·동해안·비무장지대 지역을 H자 형태로 동시 개발하는 남북 통합 개발 전략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4월 1차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한반도 신경제구상 관련 자료를 책자와 이동식 저장장치(USB)를 건낸 바 있다.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중심 축인 '3대 경제협력벨트' 구축사업은 남북한 경제협력을 위해 물리적인 네트위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3대 경제협력벨트는 동해권 에너지·자원벨트, 서해안 산업·물류·교통벨트, DMZ 환경·관광벨트 등으로 특히 수도권, 개성공단, 평양·남포, 신의주를 연결해 서해안 산업·물류·교통벨트를 만드는 것이 핵심과제다.

박남춘 시장은 인천~개성~해주를 잇는 '황금의 평화 삼각축'을 중심으로 황해권 경제블록을 구축하는 서해평화협력시대 남북 경제중심 도시 인천을 구상중이다.
영종도와 강화를 잇는 도로를 개설하고 이를 개성까지 연결해 수도권에서 개성을 거쳐 평양~신의주를 연결하는 서해안경제벨트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공항을 이용한 하늘길, 인천~남포·해주를 연결하는 바닷길은 물론 인천~개성을 잇는 육로까지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서해평화협력시대 동북아 경제중심 인천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구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칭우 기자 ching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