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추진 사업중 준공지 7곳뿐
"원주민 정착 힘들어 반대 갈등"
재개발, 재건축 등 대규모 도시정비사업들이 첫 삽도 뜨지 못하고 끝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4년간 도시정비구역에서 해제된 54곳 구역 중 준공 지역은 7곳이다. 나머지 47곳 정비구역들은 흐지부지 구역에서 해제됐다. 2014년 6곳, 2015년 23곳, 2016년 6곳, 2017년 10곳, 2018년 2곳이 자체해산이나 시장직권으로 정비구역에서 풀렸다.

정비구역 해제 현상은 시간이 갈수록 더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진행 중인 106개 도시정비구역 중 재개발반대 비상대책위원회가 없는 곳이 거의 없고, 이들 중 35곳 비대위는 인천재개발반대연합회 소속으로 활동 중이다. 또 106개 구역 중 6곳은 이미 해제 절차를 밟고 있다.

전면 철거 방식인 재개발 사업은 원주민들이 다시 정착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있었다. 인천도 마찬가지다. 사업 착공 전 마지막 절차라 할 수 있는 '관리처분계획'을 최근 총회에서 통과시킨 남동구 간석동 다복마을이 대표적이다. 다복마을재개발반대비대위는 원주민이 재개발 아파트에 재입주하기 위해 내야 하는 '분담금'이 사업 초기보다 크게 늘었다며 쫓겨나는 주민들이 많이 생길 거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해천 인천재개발반대연합회장은 "이제야 인천시도 재개발에 문제가 있다는 걸 피부로 느끼고 있는 것 같다"며 "재개발에 무조건 반대하는 게 아니다. 원주민이 다시 들어와 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오래전부터 진도 못 나간 구역들이 최근 몇 년간 거의 막바지에 이르러 구역 해제됐고, 어느 정도 진행된 구역은 끌고 가겠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스스로 해제할 것으로 보인다"며 "현 시정 방침도 정비구역을 더 늘리지 않는 것이다. 해제된 지역은 도시재생이나 마을만들기 등 주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업들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욱 기자 chuk@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