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을 중심으로 발전한 인천의 원도심이 오히려 쇠퇴지역으로 전락함으로써 도시 균형발전이 중요 과제로 떠올랐다. 도시 공간구조가 성장과 쇠퇴라는 이원화 형태로 변모함으로써 전체적인 도시 침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돌이켜보면 항만과 연계된 공업시설 근로자들은 오랜 전부터 중·동구로 이주해 살아 왔다. 경인고속도로와 경인철도 주변 가좌·계양 지역에 수출공단이 들어서면서 부평·주안 일대는 상업지역으로 번창했었다. 동인천 일대에도 은행 등 업무시설이 들어서는 등 상주인구가 급증했다. 또 1980년대 서울 인구 억제 정책과 맞물린 수도권 주택난은 연수·구월·계산·만수 지역 도시개발사업을 촉진시켰다. 현재 인천의 경우 경제자유구역을 유치한 송도·청라·영종지구를 중심으로 도시성장이 급진전하는 모양새다. 반면 원도심 지역발전은 더딘 현실이다.

최근 인천시가 인구 유출과 고령화 등으로 활력을 상실하는 원도심에 행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나섰다. 박남춘 시장은 첫 조직개편에서 원도심 재생을 위한 도시 균형발전을 핵심 열쇠로 내세웠다. 정무경제부시장 직책도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변경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두고 시의회 정례회가 열린 6일 기획행정위원회 질의에서 '정무부시장 업무 능력에 대한 검증'이 제기되는 등 순탄한 모습은 아니었다. 도시 균형발전 사업들이 정무적으로 풀어나가기보다는 행정 역량에 치중해야 하는 성격이 크기 때문이다. 사실 도시재생 등은 지방정부와 지역사회, 그리고 민간 이익단체 파트너십과 관련된 행정적 과정이 복잡하고,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얽히는 사업이다. 민선7기 시정부의 조직개편을 통해 시정 추진방향이 도시성장에서 지역 격차를 줄이기 위한 분배 정책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도시 균형발전의 큰 틀에 가려 있는 마을단위 균형발전도 눈여겨 볼 수 있어야 하겠다. 같은 마을에서도 낙후지역이 있기 마련이다. 경제적 수준이 뒤떨어지는 지역의 사회기반시설 지원도 필요하다. 정화조 시설을 갖추지 못하고, 도시가스가 들어오지 않는 소외 지역도 많다. 도시 균형발전과 더불어 마을 구석구석의 낙후 환경 개선에 세심한 정책이 닿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