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는 바이오, 드론 등 혁신성장산업의 육성을 경제 정책의 한 축으로 삼고 있다. 각 분야에서 특화도시를 지정해 지원을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지역균형이라는 명분으로 인천을 그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려는 해 심히 걱정이다. 이들 첨단산업의 성패는 그 인적, 물적 기반을 갖추고 있느냐의 여부다. 바이오 산업 분야에서 인천의 경쟁력은 이미 객관적으로 입증돼 있지 않는가.

국토교통부가 최근 세종과 강원 원주, 전남 나주 등 7개 지역을 국가산업단지 후보로 선정했다고 한다. 이들 도시는 첨단 신소재·부품(세종)과 에너지(나주), 디지털 헬스케어(원주) 등 미래산업의 핵심지역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품은 곳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충북에서는 바이오와 관련된 업종으로 충주와 청주 2곳이 선정되기도 했다. 정부는 청주에 국내 최고의 바이오 인프라와 연계한 혁신 생태계 공간을 마련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충주를 바이오 헬스 국가산업단지로 키워 청주·충주·원주를 잇는 바이오벨트를 구축한다는 청사진이다.

이같은 정부 계획에 대해 인천으로서는 놀라울 뿐이다. 인천은 진작부터 바이오산업을 미래 신산업으로 보고 착실히 그 기반을 다져왔기 때문이다.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뿐만이 아니다. 이미 37개의 기술 경쟁력을 자랑하는 바이오 기업들이 들어서 있다. 여기에 정부의 지원이 더해 진다면 금상첨화인 셈이다. 바이오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인천시는 정부에 바이오 인력양성센터 건립(사업비 150억원)을 정부에 요청해 놓고 있다. 그러나 묵묵부답이다. 국내 1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도시에 전문 인력이 부족한 사태를 외면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들 바이오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과 무관하게 자생적으로 경쟁력을 키워 세계시장으로 나아가고 있다. 국내에서 경쟁하는 분야가 아니다. 지역균형이라는 고려는 별로 의미가 없다. 이제라도 정부는 지원이 가장 큰 성과를 낼 수 있는 도시가 어디인지를 냉철하게 판단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