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수 논설위원

 

시니어 붐이 본격화하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 1000만명 시대가 10년 이내에 다가온다. 통계청은 2025년 전체인구 중 65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 노년기는 신체기능이 저하되고, 경제활동과 대인관계가 축소되는 등 사회적 관계망이 단절되는 삶의 변화가 수반된다. 국가와 민족에 대한 의식이 각기 다를 정도로 노인집단의 개인차는 크다. 동시대를 경험하고 살아온 세대들이더라도 경제적 여건에 따라 삶의 방식이 달랐고, 똑같이 겪은 사회적 사건에 대해서도 의미 부여가 다르다.

최근 역동적인 변화의 시대를 영위하는 우리 사회의 세대 간, 세대 내 간극이 뚜렷이 나타난다. 권위적인 가부장주의 기틀에서 살아온 노인집단의 위기가 고조되는 분위기다. 기성세대를 '틀딱'으로 비하하고, '개극혐'으로 단정하는 등 경제 분야뿐 아니라 다방면에서 심각한 연령주의에 봉착했다.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때문이다. 고집불통의 경직성, 안하무인의 자기주장 등은 노인에 대한 혐오적 선입견을 부추기는 대표적 사례다. 그럴수록 노인의 가르침이 통하지 않는 사회로 빠져들 뿐이다.
노인세대가 체험하기 힘들었던 양성평등, 결혼 가치관, 민주화 파고, 개인 소비생활 확대, 디지털 문명 등 시대변화는 빠르고 다양했다. 전통적인 사회화의 영향력이 지속될 수 없는 사회구조에서 세대통합의 성과도 미흡할 수밖에 없다. 이런 현상을 반영하듯 노년 학계에서는 노인이 학습할 '시민성'에 대한 논의를 깊게 한다.

신세대와 노인세대, 노인집단의 주류세대와 비주류세대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처방이 시급하다는 시각이다. 노인은 '누구나 똑같은 시민'이라는 지위 인식을 바탕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영역에서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국가 권력, 제도, 관행 등의 차별에 저항할 수 있는 주체적 자세를 갖춰 시민으로서 주도적 권리를 찾아야 한다고 한다. 노인의 시민성 학습은 노인이 인내하고 관용을 베풀어야만 하는 피동적 대상에서 머물지 않고 시민으로서 보편적이고 정당한 권리를 재인식하는 과정이다.
노인집단과 젊은 세대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연대하며, 공존하는 자세가 정립돼야 한다. 노년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세대통합이다.

취미여가 프로그램으로 치우친 노년교육 기관의 획일적인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시기다. 노인 시민성 학습 프로그램의 확산이 기대된다. 노인의 시민의식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면 세대통합 실마리도 풀린다. 어른다운 사회의 품격을 쌓아야 성공한 노년도 보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