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범자들이 학교에 무단침입해 폭력 등을 저지르는 사건이 자주 뉴스에 등장한다. 인질극을 비롯해 폭력, 절도 사건 등 유형도 다양하다. 이에 전국 각 학교들은 지난 2011년부터 학교지킴이(보안관)를 임명해 배치·운영하고 있다. 우범자들로부터 학생과 교사, 교직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학생들은 그동안 학교지킴이가 있어 교내에서 각종 사건·사고로 인한 불안감은 많이 해소됐다고 말한다. 경기도 지역에도 현재 총 2074개교(유치원 64개 포함)에 1만8천880명의 학교지킴이가 근무중이다. 학교지킴이들은 정식 근로자가 아닌 자원봉사 형태로 각 학교가 자체 채용해 운용중이다. 대다수가 최저임금도 안 되는 1일 3만원 정도의 보수를 받는다고 한다. 심지어 자원봉사자여서 퇴직금도 없고 4대 보험에도 가입되지 않는다. 그래도 대부분 학교지킴이들은 사명감을 갖고 헌신적으로 봉사한다.

그런데 최근 학교지킴이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및 무기계약직 전환을 추진하면서 일선 학교의 학교지킴이 등은 전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학교지킴이가 전환 대상이 아닌 시설 경비원에 해당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학교지킴이들은 이달부터 대거 실직사태를 맞게 됐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더욱 걱정스러운 것은 학교지킴이가 없는 교내에서 빈발하게 될 각종 사건·사고다. 요즘은 학교폭력이 갈수록 도를 넘게 지나쳐 공권력을 투입해야 할 상황에 이르렀다. 따라서 오늘날 학교는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게다가 우범자들이 학교에 들어가 범죄를 저지르는 일도 다반사다.

학교 안전은 이제 모든 가정의 관심사다. 자녀들이 다니는 곳이기 때문이다. 특히 학교 안전의 불안은 모든 부모를 노심초사하게 만든다. 그렇다고 경찰을 상시 배치할 수도 없다. 그래서 학교지킴이의 필요성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그럼에도 교육청은 법규와 예산타령만 한다. 답답하기만 하다. 고양 국제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학교지킴이 2명 구하기에 나섰다고 한다. 정부는 이제라도 학교지킴이들의 효용성과 역할론을 재고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