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주식회사'는 출범 당시부터 여러 논란과 의혹에 휩싸였다. 하지만 대부분 의혹은 풀리지 않았고, 논란 또한 제대로 해명되지 않았다. 그렇다고 주식회사답게 이른바 '장사'를 잘 한 것도 아니다. 지난 5월 출범 2년을 맞은 경기도주식회사는 자본잠식 상태다. 적자규모는 3억4천여 만원이다. 지난해 1년 매출 역시 4억6천여 만원에 불과하다. 그나마 경기도주식회사가 자체 개발한 재난안전 키트 매출이 90%를 차지한다. 기본 수준의 안전키트를 1만5천300여 개 팔았다는 건데, 이를 뺀 나머지 매출은 고작 수 천만원 수준이다. 게다가 매출의 거의 전부라 할 수 있는 안전키트 판매에서도 의혹이 제기된다. 학교나 관공서 등을 상대로 한 팔아주기나 떠넘기기로 이루지 않았냐는 것이다. 경기도주식회가 판매 자료를 공개하면 쉽게 풀 수 있는 사안이니, 속히 공개하는 게 좋겠다.

오늘날 경기도주식회사의 상황은 이미 첫 발부터 엇나간데 따른 필연적 결과라고 본다. 특히 경기도에서 예산지원을 받고 8개 경제단체를 상대로 경기도주식회사 자본금을 조성한 것은 명분이야 어떻든 우월적 지위를 남용한 '갑질'이었다. 그럼에도 기대를 걸었던 것은 경기도가 위탁한 4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지원 사업인데, 지난 해 이마저도 이렇다 할 실적을 내지 못해 수 억원의 예산을 반납했다. 전임 도지사가 무리수를 둬가며 벌인 사업치고는 여러 모로 딱한 실정이다. 문제는 상황이 이런데도 마치 아무 일 없었다는 듯 기계적으로 동일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이다. 공공부문의 일반 행정 관례에도 어긋날 뿐 아니라,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작은 문제가 아니다.

경기도주식회사는 올해 3년차에 접어들었다. 그렇다면 이즈음에서 되돌아봐야 한다. 예산 배정에 앞서 사업 영역과 모델, 조직구성, 예산, 지원 사업 등에 대한 전반적 분석과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이를 통해 지지부진한 사업을 정리하고, 경쟁력 있는 영역을 강화하는 등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고 그대로 계속 꿰나갈 수는 없는 일이다. 이제라도 모두 풀고 제대로 꿰거나, 아니면 해체하거나 선택은 결국 둘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