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민여성의 지역 정착이 증가하는 가운데 다문화 가정의 경제 자립이 중요한 정책과제로 떠올랐다. 이제 이주민들은 단순한 방문객이 아닌 국민성원으로 인식돼야 할 다문화 시대를 맞이했다. 세계 선진국들은 이주민 정착만을 허용하는 초보적 정책을 넘어 사회통합의 시대로 가고 있다. 이민자들의 지배문화를 흡수하는 동화정책이 우선되던 시대를 벗어나 차별을 없애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다원주의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노동력 감소의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의 일자리 정책은 부족한 노동력을 흡수하고 경제적 이득을 실현하는 1석2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결혼이민여성들을 우리 사회의 복지 수혜자 또는 동화의 대상자로 대하는 사회적 편견부터 씻어내야 하겠다.

그동안 1992년 한·중 수교를 발판으로 조선족 동포 유입이 본격화하고, 힘들고 위험한 직종에 외국인 노동자가 일자리를 메우면서 해외이주여성은 급증했다. 결혼이민여성의 증가 현상은 동남아시아 저개발국을 중심으로 국제결혼을 통한 생계유지와 빈곤탈출이 주도해 왔다. 그럼에도 결혼이민여성의 생활불만족은 여전히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나타난다. 이들의 직업 활동은 식당 서비스업, 공장 근로자, 가사도우미, 간병인 등 생산직 혹은 단순노무직 등에 집중되는 실정이다. 전문직 취업자는 열에 하나도 되지 않는 매우 미비한 수준이다. 정규직보다는 일용직과 임시직이 훨씬 많다. 결혼이민여성의 취업목적은 안정된 거주에 있다. 또 직업 경제활동에 따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과 지위 획득이라는 자아존중감과 자아실현에도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결혼이민여성은 전 세계 150여 개 국가에 분포된 15만5457명이다. 이 중 여자가 13만227명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한다. 주로 베트남, 중국, 일본, 필리핀, 캄보디아, 태국, 우즈베키스탄, 몽골, 러시아 등이다.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는 결혼이민남성이 더 많다. 인천 결혼이민자는 1만명에 육박한다. 언어와 육아문제를 해결하는 정책과 프로그램도 결혼이민여성의 유효한 취업역량 강화 방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