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가 해방 이후 최초의 도시빈민투쟁 사태인 1971년 '광주대단지사건'을 재조명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 사건은 일회성으로 끝났으나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서 형성된 대규모 도시 빈곤층의 생존위협 상황을 드러낸 빈민운동의 시발점으로 평가된다. 성남시가 이번에는 예산지원과 실태연구조사 등 합리적 검증을 통해 '민중 생존권 투쟁'의 진실을 규명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시의회와 시민단체 등 지역사회도 함께 나서 성남시 뿌리를 찾는 이 일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으면 한다. 광주대단지사건은 발생한 지 이미 47년을 넘겼다. 그동안 성남 지역사회가 규명작업과 기념사업 등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한 것은 사정을 감안해도 부끄러운 일이다.

이 사건은 당시 10만여명의 성남시민이 참여한 도시빈민투쟁이었다. 8월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지역전체가 나서 정부에 항의하고 22(23)명이 구속됐다.
성남이라는 도시의 뿌리가 만들어진 계기이면서, '성남의 정체성'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사건은 의미를 갖는다. '광주대단지사건' 규명작업에 정치적으로 여야를 막론하고 성남시민 전체가 나서야 마땅한 이유다.
은수미 성남시장은 지난 22일 SNS를 통해 이와 관련해 "1971년 당시 청계천변 대규모 화재로 하루 새 이재민이 된 것도 모자라 박정희 정권에 의해 강제이주된 분, 강원도 화전민으로 살고 있다는 이유로 강제이주된 분, 산기슭 군용 천막에 살면서도 삶과 미래를 꿈꾼 시민 여러분 덕분에 성남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을 받는 도시로 됐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이름을 공개할 수 없다"며 "성남시장실 혹은 성남시 자치행정과 인권보장팀으로 연락을 주시거나 이 분들을 알아 연락을 하면 사면복권과 명예회복에 힘쓰겠다"라고 알렸다.

시장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일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알찬 로드맵을 진행하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아울러 혹시 나올 반대의견도 듣고 설득시킬 준비도 해야 한다. 무엇보다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던 현직 성남시장이 직접 이 문제를 규명하는 데 나섰으니 어느 때보다 기대감을 갖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