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교수

 

 

 

대한민국 아니 전 세계가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폭염·열대야 일수가 사상최고였던 1994년을 넘어서 역대 1위를 기록하는 등 연일 40도를 넘는 폭염과 열대야로 잠을 못 이룬다. 유엔 산하기구인 '지속가능에너지기구'는 냉각장치가 제대로 구비되지 않은 국가의 약 11억명이 온열질환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폭염으로 인한 농가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서 총 2334.8㏊의 농작물 피해가 보고됐으며, 작물별로 보면 과수가 1105.8㏊로 가장 컸으며. 특작 549.4㏊·채소 420㏊·전작 196.6㏊·벼 63.0㏊ 등이 뒤따랐다.

더 큰 문제는 이런 폭염이 앞으로 더욱 기승을 부릴 것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나라 기후변화 폭이 세계 평균에 비해 크다. 지난 100년간 세계 평균 온도는 0.74도 상승했다. 반면 우리나라 6대 도시는 1.7도 상승했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진행속도가 세계 평균을 웃도는 셈이다. 특히 열섬효과 등으로 도시 지역의 기온상승률이 30% 이상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우리나라 근해 표면수온도 41년간(1968∼2008) 평균 1.31도 상승해 세계평균 0.5도 상승을 크게 넘어서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재산피해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소방방재청이 집계한 1960년대 이후 기상재해에 따른 연평균 재산피해액은 2000년대 들어 2조원을 넘어 1990년대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했다.

이제 폭염을 비롯한 기상이변은 전 지구적이고 상시적인 현상으로 봐야 한다. 특히 최근 들어 저명한 지구온난화 회의론자까지 '전향'하게 할 정도로 기후변화의 재앙이 심각한 현실로 나타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는 이미 돌이킬 수 없고 범국가적 차원의 대책도 매년 그때뿐인 상황의 되풀이다. 우리에게 더 절실하고 시급한 것은 기후변화 적응과 예방이다. 지금까지와 같은 즉흥적이고 피상적인 대응책을 내놓는 데 그쳐선 안 된다.

기후변화 시대에 몇 십년 만의 기록적 폭염이니 하는 말은 변명에 불과하다. 기후변화는 이변이 아니라 일상이라는 인식의 장기적 정책 수립을 전제로 해야 한다. 이제라도 폭염 대책을 비롯한 기후변화 적응 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말이다. 지역별 여건과 특성에 맞는 근본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관련부처와 우리 모두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