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공무원들의 명찰 패용 논란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이재명 도지사 취임 직후 나온 명찰 패용 지시에 노조를 비롯한 공무원들이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대부분 자치단체의 경우, 평소 대주민 업무공개 차원에서 명찰패용을 원칙으로 삼고, 특히 선출직의 자치단체장이 바뀔 경우 명찰패용을 더욱 강화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급기야 경기도청은 최근 도민 2288명을 대상으로 명찰 패용에 대한 선호도 여론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명찰 패용에 찬성 입장을 보인 도민이 7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도적 수치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22%에 그쳤다. 그러나 도청 공무원을 대상으로한 여론조사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반대 78%, 찬성이 22%였다.

도청 공무원들의 반대 이유 역시 옹색하다. 응답자의 37%는 새 명찰 제작에 따른 예산 소요를 들었는데, 실소를 금할 수 없다. 또 다른 반대 이유는 시·군과 달리 도청은 정책업무를 주로 수행해 별로 필요치 않다(35%)는 것이었다. 이는 더욱 원칙에서 어긋난다. 명찰 필요성 여부에 대한 판단은 명찰을 다는 공무원이 아니라 경기도민의 몫이기 때문이다.

도청 공무원 상당수가 명찰 패용에 부정적인 건 아마도 이름과 직무, 직위 등 최소한의 정보나마 드러나는 걸 원치 않기 때문일 수 있다.
하지만 명찰 패용이 도청이라는 공적(公的) 공간과 '근무 중'이라는 공적 시간에 제한되는 한 공적 신분정보 제공은 당연한 일이다. 도민의 알권리 차원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찰 패용이 논란거리가 된 데는 이재명 지사 취임 직후 서둘러 일방적으로 추진했기 때문일 것이다. 필요한 일일지라도 서로 소통하며 협조를 구하는 리더십이 필요한 시대라는 점에서 도지사에게 아쉽다.

도청 공무원들에게 당부하고 싶다. 이제는 더욱 당당하게 이름 석 자를 내걸었으면 한다. 무엇보다 여론조사 결과, 도민들이 압도적인 비율로 명찰패용을 원했기 때문이다. 이젠 누가봐도 명찰 패용에 반대할 객관적 논리는 빈약해 보인다. 이번일을 계기로 이름과 자리에 걸맞은 도정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더욱 명심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