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광역버스 운행업체들이 거리로 나섰다. 경영난 때문이다. 광역버스 6개 업체가 21일부터 운행을 중단하는 폐선신고서를 인천시에 제출했다.
업체들은 '시내버스와의 수익구조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며 운영 적자를 지자체가 보전하는 준공영제 도입을 주장했다. 인천시는 광역버스 최저임금 인상 등에 따른 재정 적자를 지원하기 위한 추경예산 23억원을 반영하지 않았다.

대중교통 체제는 공공서비스 성격을 지니지만 인천시는 재정 보전 방안을 놓고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번 폐선 신고 노선은 서울역, 신촌, 강남 등을 오가는 1000·1100·1200·1300·9100·9300번 등 19개 노선 259대다. 하루 3만여명이 이용하는 요긴한 서울~인천 간 교통수단이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교통대란이 우려된다. 시민이 볼모로 돼서는 안 된다.
매년 이용승객 감소 추세와 최근 버스업체 최저임금 인상, 운전 근로자의 휴게시간 신설, 주 52시간 근무제 등으로 운영 적자는 어느 정도 예상된 상황이었다. 따라서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사전에 검토됐어야 할 사안이다. 경기도는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에 따른 찬반 논란이 장기간 지속됐었다. 재정 분담을 놓고 도와 시·군이 첨예하게 대립했다. 우여곡절 끝에 지난 4월 경기도 14개 시·군이 예산을 반씩 부담하기로 도와 합의함으로써 일부 준공영제를 실시하게 됐다.
이제 인천 광역버스 업체 6곳이 폐선을 강행하겠다고 강수를 두고 나왔으니, 준공영제 또는 공영제에 대한 방책이 불가피해 보인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인천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세금 투입은 올해 1000억원 규모다.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2~3년 내 두 배 정도로 늘어나 시의 부담도 크다.
광역버스에도 준공영제를 도입하게 된다면 단시간 내에 재정 확충에 대한 묘안을 만들어내기 쉽지 않다. 하지만 노선 폐선신고 등 시민의 발을 묶는 무책임한 불상사는 없어야 한다.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운전근로자들의 임금격차 해소, 운송원가 분석, 서비스 표준 설정, 노선입찰제 등 폭넓은 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