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누가 뭐래도 '해양도시'임을 간과할 수 없다. 바다와 섬 등이 둘러싸고 있는 인천은 '항만경제'를 빼놓고는 얘기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인천은 해양도시 정체성을 확립하고 미래 청사진을 그려 나갈 '정책적 비전'을 바로 세우지 못하고 있다. 일례로 인천엔 '해양포럼'이 존재하지 않는다. 해양과 관련해 인천과 경쟁을 벌이는 부산엔 이미 2007년에 '세계'를 타이틀로 내건 포럼을 설립했는데도 말이다. 부산엔 국내 최대 규모의 해양전문 '세계해양포럼'이 있다. 국내외 최고 해양 전문가들을 초청해 해양산업 변화를 읽고, 새로운 해양 가치와 신산업 창출 등을 위한 '미래 전략 모색' 자리다. 부산이란 도시브랜드를 알리는 구실을 톡톡히 수행한다.

'바다, 경제가 되다' 주제로 지난해 10월 열린 제11회 세계해양포럼 조직 구성원만 봐도, 그 규모를 가늠케 한다. 포럼 공동의장단은 오거돈 전 해수부 장관(현 부산시장)을 비롯해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 부산대·부경대·한국해양대 총장 등 부산 해양산업·교육 분야를 대표하는 기관장이다. 부산항만공사, 부산은행, 한진중공업 등 부산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은 포럼 후원자다. 부산이 글로벌 해양도시로 발전하는 데 원동력을 제공하는 셈이다
국내 두 번째 규모 무역항을 품은 인천에도 무엇보다 빨리 '해양포럼'과 같은 자리를 마련해 세계로 뻗어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는다. 글로벌 해운·항만시장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인천이란 도시브랜드를 알리는 데엔 그만한 것도 없기 때문이다. 인천항만공사 등 항만업계에선 좀 늦은 감은 있어도, 이런 여론을 모아 인천시에 제안한 상태다.

인천에 해양포럼을 조성하면, 해양도시로서 인천의 가치를 더욱 다져 나갈 수 있다고 항만업계는 파악한다. 인천항이 대한민국 관문항에서 환황해권 거점 항만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어쩌면 필수적이다. 인천과 가장 가까운 중국만 하더라도, 해양산업을 새로운 성장견인 분야로 지정하고 단계별 추진전략과 지역별 특구조성을 통해 해양경제 발전에 박차를 가한다. 이젠 인천과 부산의 경쟁을 넘어 세계를 향해 '해양주권'을 외쳐야 하는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