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신청사를 위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는다. 하지만 쉽지 않은 듯하다. 거둘 수 있는 세금은 한정돼 있는 상황에서 도는 공유재산 매각을 통해 신청사를 건립할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이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안절부절 못하는 형국이다. 매각계획을 세운 공유재산은 모두 11건이지만, 현재 1곳만 매매가 예정됐고 나머지는 지지부진한 상태다. 특히 매각 대금이 가장 높은 경기도 종자관리소 부지 매각이 늦어지고 있어 전전긍긍한다.

도는 신청사 건립을 위해 내년부터 2020년까지 285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들 재원 가운데 2441억원 상당은 공유재산을 매각해 마련하기로 하고 11건의 공유재산 매각을 시작했다.
가장 큰 자산가치가 있는 종자관리소의 경우 지난해까지 판매할 계획이었으나, 아직 매입자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 부지는 14만2372㎡ 규모로 추정가액만 2000억원이 넘어 건립비용의 상당부분을 충당할 수 있는 '키포인트'다. 문제는 이 부지가 수원시와 화성시 경계조정 대상지역에 위치했다는 점이다. 두 지자체의 경계조정 결과가 선행돼야 매각이 순조롭게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도는 앞서 지난 2014년 경계조정전문가 등과 경계조정에 대해 협의했지만, 두 지자체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도는 이듬해 반정2지구 예정지(19만8915㎡)와 망포4지구 일부지역(19만8915㎡)을 맞교환하는 중재안도 제시했지만, 합의를 이끌어 내지 못한 채 전전긍긍하는 상태다.

부지 매각에 진전이 없자 도는 내년도 예산편성 시 일반회계에서 700억원을 충당하고, 부지를 매각 후 상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도 하다.
이뿐만 아니다. 구 수자원본부 청사의 경우 지난해와 올해 입찰공고를 2차례 진행했지만 유찰됐다. 안양 만안구 대지, 평택 세교동 임야, 평택 팽성읍 전답, 화성 안녕동 임야, 화성 남양읍 전답 등 5건(148억원 상당) 등 공유재산 내년 매각계획도 세웠지만 장담하기 어렵다. 역시 열쇠는 종자관리소에 있다.
수원과 화성 모두 경기도에 속하는 만큼 양 지자체는 개별적 이익에 급급하지 말고 도민을 먼저 생각하는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협상과 매각을 진행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