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구는 지난 10년간 줄곧 증가했다. 세종시를 제외한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매년 인구가 늘어난 도시다. 행정안전부가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감'(2018)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인천시 인구는 전년대비 5473명 늘어난 294만8542명으로 집계됐다. 1000만명 도시 서울도 최근 2년간 900만명대로 인구가 하락했다. 인천은 부산과의 인구 격차가 50만명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인천 평균나이는 40.5세로 전국평균(41.5세)보다 한 살 어렸다. 인천 인구가 증가하고 젊어지는 현상은 도시발전의 긍정적 신호다. 하지만 인천의 경우 저출산 기조가 급속히 심화하고 인구 고령화의 속도가 가속화할 전망이다. 또 전국적인 저출산·고령화 상황에서 도시별 비교는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인천이 베드타운이 아닌 실제적인 삶의 터전일 수 있어야 한다.
인천은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 면에서 높은 도시로 평가됐다. 지방분권이 강조되는 지방자치제에서 재정확충에 따른 재정분권은 지방자치의 핵심 요건이다. 재정자립도가 취약할수록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에 예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방정부 스스로 자율적인 권한을 갖고 각종 사무를 처리할 수 있는 재정자립도는 매우 중요한 도시발전의 변수다. 재정자립도는 중앙정부로부터 지원받는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지방채를 제외한 순수한 재정자립 여건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지방정부의 자주성과 직결되는 문제다. 그동안 6개 광역시 중 인천은 비교적 중상위권 재정자립도를 유지해 왔다. 지난해 말 기준 인천은 본청기준 재정자립도가 63.0%, 재정자주도는 71.1%로 모두 1위에 올랐다. 재정자립도는 대구 43.2%, 광주 44.3%, 대전 49.0%, 부산 53.2%, 울산 60.2% 순이었다.

그러나 재정자립도 비율이 과거보다 낮아져 전국적인 하향평준화 속 선두라는 지적도 있다. 인천이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첩경은 경제 활성화다. 경제가 살아야 지방세 등 자주재원이 확충되고 재정 선순환 효과가 나타난다.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인천은 자율적인 도시를 건설할 수 있다. '이부망천'의 피해를 정리하고, 인천시민의 자존감이 덩달아 오르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