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지방공기업은 경영의 사각지대인가. 느슨한 조직과 부당한 예산 집행등 방만한 경영을 일삼고 있다는 감사원 감사결과를 보면서 「왜 이 모양인가」하고 우리는 또다시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특수활동비 및 섭외성 경비의 과다지출이 시정되지 않고 있으며 이밖에도 퇴직금 지급등 부적절한 사례들이 여전하다면 인천시 지방공기업은 고비용 저효율의 대명사로 비쳐지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지금 우리에게 경영합리화가 얼마나 절실한지는 새삼 논하고 싶지 않다. 경영합리화는 단순히 부족한 시 재원을 메우기 위해서만이 아니다. IMF체제 극복후에도 생산성을 높이려면 비만증에 걸린 몸집 부터 줄여나가야한다. 그래서 정권이 바뀔때마다 공기업의 효율성을 강조했고 현정부도 출범직후 예외없이 효율성을 선언함으로 해서 이 약속은 어느때 보다도 절실한 실천과제로 여겨져 왔다. 다시 말하면 효율성 제고는 우리가 기를 쓰고 매달려야 하는 국가적 과제인 셈인데 관계자들이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걱정이다.

 보도에 따르면 어느 지방공기업은 지난해 매출액의 70.1%를 인건비로 집행하고 스포츠센터건립을 무리하게 추진하다 5천만원의 교통영향비를 낭비하는 부실경영을 지속하고 있다는 사실이 어슬픈 행정의 단면을 보여준다. 또한 지방공기업들은 임/직원 임용시 공무원등을 파견임용하는 일을 자제해야 함에도 퇴직공무원, 심지어는 정당인까지 임원에 임명하고 있다면 과연 누구를 위한 지방공기업인지 어리둥절해진다. 관료집단이나 일부 특정계층에 이익이 되는 공기업은 국민의 입장에서 볼때 비난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직원이 21명에 불과한 어느 지방공기업 원장에게 96년식 뉴그랜저를 지급, 연간 총 3천3백72만원의 차량유지비를 지출하고 있다는 것도 그 많은 민간기업들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결론적으로 올바른 공기업 혁신없이 정부의 생산성은 공염불에 그치고 말 것이다. 고통분담을 하자면서 예산을 물쓰듯 하고 있다는 원성이 잦다. 국민경제 회생의 책임을 절감하여 자발적인 혁신에 나서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