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나 화주들이 인천항을 기피하는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인천항의 침체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게 오늘의 현실이다. 이러한 기피요인을 하루속히 제거하고 항만수요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고하지 않는한 인천항이 침체국면에서 벗어나기는 요원할 수밖에 없다.
 인천항이 부산, 광양항 등 국내 주요 항과 홍콩, 싱가포르, 고베, 상하이 등 외국의 국제항 등 13개 국내·외 항만 이용에 대한 평가에서 서비스질이 최하위란 평가는 바로 인천항의 위기를 자초한 요인으로 지적된다. 더욱이 이같은 평가자료가 선사, 화주 등 항만수요자 입장에서 비교평가한 한국선주협회의 `인천항 이용시 장단점""보고서에서 밝혀진 내용으로 인천항의 서비스 수준이 다른 국제항에 비해 어느정도 열악한지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항만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서비스수준이 중요하다. 가뜩이나 갑문통과란 제한적 조건에서 화물야적장이나 창고 등 시설보유 확보율도 77%에 그치고 있는 게 인천항의 현주소다. 이러한 항만의 구조적 불균형에다 불합리한 화물경비료의 부과체계, 출입국·검역절차 등의 복잡다단성이 인천항 이용을 기피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항만운영상의 문제점도 적지않다. 부두운영의 비효율과 정기항로의 부족은 항만침체를 가중시킨다. 인천항이 부두운영 회사제를 도입, 운영하고 있지만 오히려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은 주목할 내용이다.
 무엇보다 항만이용의 고비용구조를 과감히 개선해야 한다. 선거에 접안하기까지 8마일에 이르는 장거리 도선에 따른 추가 부담에 대기시간에 따른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형편에서 t수에 따라 일률적으로 부과하는 경비료 부과체계는 반드시 고쳐야 할 과제다. 따라서 항만시설 사용료와 임대료는 인천항의 실정에 맞춰 탄력적으로 적용해야만 한다. 더불어 컨테이너 개설문제도 정부가 보다 적극적이어야 한다.
 정부가 항만의 관리, 운영을 독점하고 있으면 서비스 질의 제고는 기대할 수 없다. 본란이 누차 강조했듯이 항만관리운영권은 이제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해야 한다. 항만경기가 지역경제에 파급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점에서도 지자체로의 이양은 빠를수록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