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으로 수입된 미국산 유전자조작 콩에 대한 유해논란이 비등하다. 환경·시민단체들은 엊그제 인천항 3부두앞에서 유전자조작 콩의 수입을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갖고 유전자조작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수입콩의 유통을 금지할 것과 유전자조작 표시제 시행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농수산물유통공사는 유전자조작 콩이 섞여 있는 미국산 식용콩 3만1천5백t을 수입, 지난 6일부터 이 콩을 실고 인천항에 입항한 「앰버호」에서 하역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소비자단체들이 이 콩의 유통을 금지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어 유통과정서 마찰이 예상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유전자조작 콩의 유통을 놓고 논란을 빚는 것은 재배과정서 제조체를 뿌려도 죽지 않을 정도로 내성이 강해 독성이 강한 농약성분이 콩에 상당량 잔류했을 가능성이 커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생산한 미국산 7천7백만t의 콩 가운데 31.3%가 유전자조작 콩인 것으로 알려져 환경·소비자단체들이 수입반대 항의집회를 벌이는 것도 이러한 연유에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콩의 자급률이 10%에도 못미쳐 수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유해여부 등 안전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아도 수입농산물은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에서 수입하는 밀등 곡물과 오렌지, 자몽 등 과일에 유해농약과 살충제를 다량살포해 발암성 잔류농약이 허용기준치보다 100배이상 검출되고 있다 한다. 유전자조작 콩은 제초제에도 죽지 않는다고 하니 잔류농약이 어느정도일지 짐작할 만하다. 따라서 수입농산물에 대한 경계심을 갖고 안전성을 철저히 검증하지 않으면 안된다.

 농산물수입 자율화율이 이제 100%수준에 이르고 있다. 기름짜는 콩의 경우 100% 수입에 의존하는등 가공식품의 상당량이 거의 수입농산물로 충당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해성 여부를 검출해내는 안전장치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국민건강상 위해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식품안전문제는 어느 분야보다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