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무원 부패방지 종합대책 수립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공직부패 척결 노력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과거에도 여러차례 있었던 일이긴 하나 지금과 같은 비리와 무사안일을 그대로 두고서는 국정을 효율적으로 펴나가기 어렵다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고 본다. 나라살림을 맡고 있는 공직자들의 부정과 부도덕이 시비대상으로 지목되어 권위를 크게 잃은 상태다. 공직자들이 나라의 안전변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국민은 기댈 언덕을 잃은채 각종 비리에서 시달리고 있다.

 우리는 과연 이런 상태로 우리 주변에 냉엄히 몰려오는 국제적 소용돌이를 극복해 낼 수 있을까. 많은 국민들은 그 점을 걱정한다. 김대중 대통령의 말대로 공직사회의 부정관행을 척결하지 않고는 경제회복은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부패국가라는 불명예를 벗을 수도 없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해이할 대로 해이해진 공직사회의 기강을 그대로 방치해 둘 수는 없다. 정부와 여당은 민심에 부응하는 방향에서 부패의 고리를 차단해야 할 것이다. 공직부패를 다스려 나갈 수 있는 법과 제도가 마련되도록 합의를 도출해야 할 때다. 우리는 지금 총력을 기울여 하루빨리 IMF 체제를 벗어나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공직자들이 사심없이 일해야 하고 동시에 민의 동향을 예의 주시해 민첩하게 대처해야 한다. 공직자들이 성실하게 그리고 적극적으로 맡은바 책무를 다했더라면 오늘과 같은 국난의 심각성은 한결 덜 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공직자는 자성의 차원에서 기강확립의 밀도(密度)를 높여주기 바란다.

 지난 10월중 하위공직자에 대한 집중사정에 착수, 5천80명을 적발했으며 이중 4천5백71명은 경징계에 그쳤지만 222명은 파면이나 해임, 30명은 정직, 157명은 감봉·견책 등 중징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집중사정을 어떤 형식으로든지 탈선·무사안일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재발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다행한 일이라 생각하면서도 공직자들이 그동안 어떻게 변했나 하는 공무원 기강대조표(紀綱對照表)를 보면 참담한 심정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비리와 무사안일은 국민의 이름으로 배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