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drone·소형 무인 비행기)을 활용할 곳은 무궁무진하다. 처음엔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했던 드론이 이제 사람을 대신해 위험하고 어려운 일을 도맡아 한다. 드론의 활용과 응용은 지금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무한정 뻗어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런 드론산업에 관심을 쏟기 시작했다.

얼마 전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 합동으로 향후 10년간 '드론산업 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핵심은 현 700억원대 수준인 국내 드론시장을 2026년까지 4조4천억원 규모로 키우겠다는 내용이다. 정부는 2021년까지 5년간 국가·공공기관의 다양한 업무에 드론을 도입해 3700대의 신규 드론 수요처를 발굴하고, 3500억원 가량의 신시장을 창출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미래용 드론을 특화·육성한다는 기본방향 아래 2026년까지 17만4000명의 신규 일자리와 21조1000억원의 직·간접적 생산유발 효과를 이끌어 내기로 했다. 이처럼 드론은 이제 '국가적 과제'로 떠올랐다.

이런 드론이 국가 중요시설을 둘러보는 데도 쓰일 전망이어서 눈길을 잡아 끈다. 인천항 보안구역(최상급) 감시 업무에 드론을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고 한다. 드넓은 항만에서 육안 감시 한계를 드론이 메워줄 것이란 기대감에서다. 드론이 밀입국·밀수 감시 등에 주효하지 않겠는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드론 활용 사례를 본보기 삼으려고 최근 인천항만공사, 인천항보안공사 등과 함께 부산항을 찾기도 했다. 부산항보안공사는 해상과 육안 감시 사각지대를 줄이고자 드론으로 부두 전 지역을 공중 감시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당장 인천항 보안구역에 드론을 띄우려면 난관도 많다. 우선 군부대의 협조 여부다. 항만 보안구역 드론 비행은 반드시 군부대 허가를 받아야 한다. 드론을 띄울 때마다 군부대 인가가 필요한데, 이에 대한 협조가 필수다. 인력 확보도 문제다. 드론 운용 숙련자가 아직은 없어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세워야 한다. 국내에서 드론 교육 전문인력 육성이 시급한 이유이기도 하다.
인천지역 상공에 어떤 드론을 띄워 임무를 수행할지 지자체는 물론 각계각층에서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다. 드론산업의 거점지 확보를 위해서라도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