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재난대비 시스템이 무용지물로 될 위기에 처했다. 도가 지난해 12억원을 들여 만든 '경기 안전대동여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도민들이 외면하는데, 이는 정부의 재난알림문자와의 차별화 실패 때문이다. 주먹구구식 행정으로 예산낭비란 비판마저 인다. 도와 경기도재난안전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4일 주변에서 일어나는 화재와 지진, 교통사고 등 자연·사회재난에 소식과 위험지역 안내 정보를 볼 수 있는 '경기 안전대동여지도' 어플을 출시했다. 도가 용역비와 개발비 등 12억원을 투자해 지난 3년간 개발한 이 어플은 실시간 재난·사고 알림, 미아·치매노인 찾기 도움서비스 제공, 출동소방차·구급차 도착예정시간 및 이동경로 알림, 위험지역·안전시설 알림, 위치기반 생활정보 등 5가지 주요 기능을 담았다.

도는 이후 건축물 내진설계 안내와 응급의료기관 안내 등의 기능을 추가했다. 주변 반경 500m와 1㎞, 2㎞, 3㎞로 구분해 정보를 제공한다. 또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교통사고, 실종사고별로 유형별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어플은 현재까지 4만7345개가 설치됐으나, 지난해 12월 4652명이었던 이용자는 현재 절반 아래인 2042명으로 뚝 떨어졌다. 어플의 알림이 정부의 재난안전문자와 비슷하고 알림 수신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실제 이 어플은 지진과 폭염, 폭우, 폭설 등 자연재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고 있는데, 기상청과 행정안전부에서 정보를 제공받아 알리는 것으로 정부의 재난안전문자와 다를 바 없다.

어플의 유형별 알림의 경우 교통사고만을 수신하도록 설정해도 폭염알림이 뜨는 등 그 기준이 모호한 것도 문제다. 재난 발생시 1회 알림에 그쳐 사용자가 이동해 교통사고지역 앞까지 가도 어플을 실제로 열어보기 전까지 교통사고 발생을 알 수 없기도 하다. 이에 따라 기능 개선과 홍보PR을 통한 사용 독려 등으로 실제 도민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폭염으로 많은 사람이 고민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개선방안 논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경기 안전대동여지도가 도민들의 필수 어플이 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