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가 '광역교통청 설립'에 뜻을 모았다. 수도권 주민들의 '출퇴근 고통'이 사라질지에 관심을 모은다. 인천·경기·서울 등 수도권 광역교통 문제의 해법으로 나온 것이다. 광역교통 전문가들은 수도권 광역교통청을 설립하면, 수도권에서 약 2조7000억원의 순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교통연구원이 2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인천연구원·경기연구원·서울연구원과 함께 '수도권 광역교통 활성화 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각 연구원은 수도권 광역교통청 설립을 통한 행정 통합이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그렇지 않아도 수도권에 사는 주민들은 '교통지옥'에 시달려야 한다. 혼잡한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면서 갖가지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 주민들에게는 지하철과 전철 25%, 버스 23% 등 대중교통 이용이 48%에 이른다고 한다. 수도권 인구의 절반 가량이 집에서 나와 대중교통을 경험하는 셈이다. 현재 수도권 주민의 14%는 매일 시·도를 넘나들며 출퇴근한다. 수도권 주민들은 출퇴근에 평균 90분을 허비한다. 이에 따른 부담과 스트레스도 크지만, 경제적 손실도 만만치 않다. 광역교통 혼잡으로 나오는 사회비용만 연간 21조원이 넘는다는 보고도 나왔다. 교통체계 개선이 절실한 이유다.

그동안 대도시권 전체를 위한 '교통행정'은 없었다. 지자체별로 행정구역 내 교통 서비스에 집중하는 바람에 구역 경계를 넘는 주민을 위한 교통행정에 '사각지대'가 있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광역버스 서울진입 제한과 환승센터 건설 지연 등 교통 수요자와 공급자 간 불일치로 주민들은 불편을 감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제는 광역교통 기본·시행 계획을 세우고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광역교통청을 설치해야 할 때다. 그러면 대도시권을 연계한 교통 활성화는 물론 교통 소요시간 감소, 시민 삶의 질 향상, 생산성 증대, 국제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민선 7기 수도권 3개 광역단체장과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정책 간담회를 열고 '대도시권 광역교통청' 설립을 추진하기로 합의한 일도 같은 맥락에서다.